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근당의고전] 일귀일천교정내견

一貴一賤交情乃見

일귀일천교정내견 : 한번 귀해지고 한번 천해져봐야 세상이 교제가 무엇인지 안다

사나운 인심을 비유한 말로, 죽고 살고 해보아야 친구의 우정을 알 수 있고, 가난해 보기도 하고 부유해 보기도 해야 친구의 태도를 알 수 있다. 사람은 겪어보아야 알 수 있다는 내용이다.

세력이 있으면 아첨하며 쫒다가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태를 지적한 말이다. 귀하거나 천하거나 부유하거나 가난하거나 언제나 일정하여 변하지 않는 교제는 얼마든지 있다. 그들에게는 교만감도 비굴함도 존재하지 않으며 불순한 이권이나 세력도 개입하지 않는 그런 아름다운 교제인 것이다.

우리들은 살아가면서 내게서 필요할 때는 타인에게 가까이 하다가도 그 사람이 곤란에 처하면 본채 만채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감탄고토(甘呑苦吐)라는 말이 생겼다.

인생이란 살아보면 좋은 일만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괴로운 일만 있는 것도 아니다. 가난이 있다고 해 영원한 것도 아니며 부자라고 하여 영원하리라는 생각은 착각이다.

중국 한나라 때 적공이라는 사람이 파면되자 찾아오는 사람이 한사람도 없었는데, 다시 등용되자 찾아오는 이가 많았다. 그래서 적공은 자기집 대문에 ‘한번 죽고 한번 살아나 봐야 사귀는 정을 알게 되고 한번 가난해졌다 한번 부유해 보아야 사귀는 태도를 알 수 있으며 한번 귀한 지위에 있다가 한번 천한 신분이 돼야만 사귀는 정이 드러나게 된다’라고 써놓아 그 말이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다.

/근당 梁澤東(한국서예박물관장)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