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을 뽑기 위한 열기는 이미 피어올랐지만 오는 10월 26일 치러지는 법적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은 오늘 부터다. 선거 초반부터 정책대결은 찾아보기 힘들다. 상대후보의 어두운 부분만 들춰내는 네거티브 대결만 보인다. 어차피 선거는 상대와의 피튀기는 맞대결이어서 서로의 단점을 물고 늘어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고는 하지만 네거티브 일색이라면 그 후보는 곤란하다.
적당히 정책대결을 가미해 가면서 상대후보의 국가관, 이념관 등을 공격하는 것은 선거의 재미를 더하기도 한다. 또 상대후보에 대한 검증을 위해 곡 필요한 과정을 네거티브라는 이름으로 덮어씌운 채 어물쩍 넘겨서도 안된다. 옳고 그름을 명명백백히 가려내 유권자들에게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후보자가 할 몫이다.
지금 각 진영 후보들은 정책검증의 상대가 아닌 공격대상으로 몰아가고 있다.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와 범야권의 박원순 후보는 지난 “정책 선거를 펼치겠다”고 다짐했다. 하지만 여야 정당들이 개입하고 선거전이 치열해지면서 갈수록 네거티브 대결로 변해가고 있다. 먼저 한나라당 나 후보 측이 박 후보의 학력 병역 시민운동 경력 검증에 이어 이념 성향을 거론하며 공격 수위를 높이는 등 네거티브 캠페인의 불을 지폈다. 이어 박 후보 측도 나 후보의 재산 문제와 과거 발언을 쟁점화하는 등 맞공세에 나섰다. 선거판이 벌써 진흙탕 싸움으로 변해가고 있는 것이다.
역대 각종 선거에서도 여야는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기 전에는 네거티브 대결을 지양하는 등 선거문화의 판을 바꿔놓겠다고 약속했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지켜진 일이 거의 없었다. 특히 선거전이 후반으로 접어들어 후보 간 박빙의 승부가 예상될 때엔 어김없이 인신공격성 흑색선전이 등장하고 탈·불법 선거운동이 과열되곤 했다.
두 후보 간 공약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지만 ‘돈 드는 사업’을 경쟁적으로 쏟아낼 뿐 도대체 무슨 돈으로 충당할지 구체적인 재원마련 대책은 보이지 않고 있다. 이제 유권자인 서울시민이 나설 수밖에 없다. 상대방을 공격하더라도 정확한 팩트를 근거로 하는지, 아니면 말고 식의 흠집 내기인지 따져봐야 한다. 정책이나 공약도 어떠한 것들이 실현 가능한지, 그래서 1천만 서울시민의 삶에 보탬이 될지, 꼼꼼히 살펴봐야 할 것이다. 결국 옥석을 가리는 일은 유권자들의 손에 달렸다.
검증의 잣대는 여야를 막론하고 이념대결을 떠나 공평하게 적용돼야 한다. 그래야 제대로된 시장을 뽑을 수 있다. 시장이 대통령 되라는 법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