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은 행정구역의 43%가 주한미군기지이다. 각종 규제와 일부 미군들에 의한 범죄로 몸살을 앓아왔던 지역이다. ‘...쏘리 쏘리 그렇게 미안하다며 흘러가던 물소리와/하숙집 깊은 밤중만 위독해지던 시간들을/만났다. 끝끝내 가르치지 못한 남학생들과/아무것도 더 가르칠 것 없던 여학생들을...’ 김명인은 시 ‘동두천2’에서 동두천의 현실을 이렇게 짚어내고 있다. 동두천의 또 다른 이미지인 ‘기지촌’으로 인해 먹고 살아온 사람들도 있지만 동두천 사람들은 기지촌이란 명칭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지난 2004년 한-미간 주한미군 재배치를 위한 연합토지관리계획 협정 개정으로 인해 의정부, 동두천 등 경기북부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이전, 재배치가 진행되고 있다. 이 협정에 따라 동두천시에 주둔한 미군 기지도 2011년까지 평택으로 이전하기로 합의했다. 그런데 문제는 미군이 떠나고 난 뒤 지역주민들의 어려움이다. 동두천은 지난 60여년 동안 안보를 위해 희생하며, 멸시와 차별을 받아왔고, 엄청난 재정적 손실을 입어온 것이 사실이다. 미군기지 주둔으로 기반시설을 확보하지 못하고, 세입결손, 교육·주거 환경이 훼손되고 인구증가도 정체돼 왔다.
그러나 이처럼 피해와 상처가 깊었음에도 정부와 관심과 지원은 별로 없었다. 정부는 용산 미군기지에는 ‘용산공원조성특별법’까지 제정해가며 1조5천억원의 국비와 10조원상당의 81만평이나 되는 땅을 무상 제공한바 있다. 그러나 동두천에는 노골적인 차별을 하고 있다. 2007년에 제정된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에 따라 경기도에 10년간 국비 총 1조2천99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그런데 그에 따른 지방비 부담액 또한 1조 8,788억원이다.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로서는 현실적으로 지방비 부담이 불가능하다.
경기도 관계자는 “미군기지가 이전하는 지자체의 어려운 여건을 고려하지 않는 주한미군 반환기지 개발관련 국비지원은 빛 좋은 개살구일 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또 김문수지사는 13일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경기북부지역의 반환공여지 매각비용으로 용산 미군기지의 평택이전 사업비를 충당하려는 현 정부의 반환공여지 정책은 분명 전환이 필요하다면서 반환공여지 개발사업을 용산기지처럼 ‘국립민족공원조성특별법’과 같은 특별지원법을 제정해 중앙정부가 직접 수립,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정부의 발상 전환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