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오 경찰청장이 노발대발 했다. 그러나 상황이 끝난 뒤여서 뒷맛이 씁슬하게 남는다. 경찰이 심야 도심에서 벌어진 조직폭력배들의 유혈 난투극을 무기력하게 지켜보기만 했다니 경찰위신이 땅에 떨어지고도 남음이 있다. 지난 21일 밤 인천광역시의 한 장례식장 앞에서 벌어진 일이다.
현장에는 70여명의 경찰이 출동했고 그 중 2명은 총기도 휴대하고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경찰은 2개 조직 폭력배 130여명이 흉기를 들고 패싸움을 하는데도 전혀 손을 쓰지 못했다.
그러는 사이 폭력배 한 명이 흉기에 찔려 크게 다쳤고 지켜보던 시민들은 공포에 떨어야 했다. 더 한심한 것은 관할 경찰이 상부 보고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명색이 치안총수인 조현오 경찰청장이 언론보도를 접하고서야 인천에서 그런 일이 벌어진 사실을 알았다고 하니 한심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경찰이 긴급한 현장 대응부터 상부 보고까지 뭐 하나 제대로 되지 않는 총체적 부실에 빠져 있는 것 같다. 이런 경찰한테 국민의 치안을 맡겨도 되는 것인지 걱정이 앞선다.
조현오 경찰청장은 25일 “올해 말까지 조폭과 전쟁을 할 것”이라면서 조폭 제압에 필요하면 ‘모든 장비와 장구’를 동원하라고 지시했다. 총기사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조 청장은 인천의 조폭 난투극과 관련해 “두렵다고 꽁무니를 빼면 그게 경찰이냐. 총기라도 과감히 사용했어야 했다”고 질책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경찰청은 이번 사건의 책임을 물어 관할 경찰서장을 직위해제하고, 지휘선상에 있는 본청과 인천지방경찰청 수뇌부 등을 대상으로 내부 감찰에 들어갔다.
경찰청장이 대노한 것은 일견 당연하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는 생각이 든다. 비슷한 맥락에서 조 청장이 전날 인천 사건을 보고받지 못했다고 언론에 실토한 것도 부적절했다. ‘누워서 침 뱉기’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다.
조폭과의 전쟁 같은 일회성 ‘뒷북치기’로는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시간이 지나 여론이 잠잠해지면 원점으로 회귀하는 악순환만 되풀이할 뿐이다. 경찰이 ‘무기력한 공권력’으로 망신을 당한 것이 처음도 아니다. 제주 강정마을의 해군기지 공사를 방해하는 폭력시위대에 이리저리 끌려다니던 경찰의 나약한 모습이 아직도 국민의 뇌리에 생생한 것이다.
경찰은 수사권 독립 등 현안 해결을 놀고 검찰과 대립각을 세울것 이 아니라 경찰내 자정노력과 국민신뢰부터 얻는 것이 순서일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