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대통령선거의 전초적 양상으로 치러진 10.26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박원순 후보가 승리하면서 정치권의 지각변동과 함께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새로운 대권후보 ‘다크호스’로 급부상하고 있다.
한나라당이 박근혜 전 대표의 전면 지원사격을 받은 나경원 후보의 ‘서울시장 입성’이 좌절되면서 동시에 박 전 대표도 대권행보에도 커다란 상처를 입은데다, 새로운 변화를 갈망하는 국민적 욕구를 반영한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동안 압도적인 여론조사 수위를 달려온 박 전 대표의 적극적인 발품팔이 지원사격에도 불구, 당초 기대했던 나 후보의 역전 승리를 이뤄내지 못해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꿈꿔온 박 전 대표의 한계를 드러낸게 아니냐는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현 정권과 한나라당에 실망감이 그대로 반영된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시민 후보의 당선’으로 선거결과로 이어지면서 그동안 지속해온 박 전 대표의 인기몰이가 지속될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그동안 만년 여론조사 ‘3% 후보’에 머물렀던 김 지사의 역할론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다.
당장 한나라당의 개혁과 변화, 쇄신을 요구하는 당내·외 욕구가 급격히 분출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으며, 당 지도부에 대한 인책 요구도 제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뚜렷한 대항마없이 독주를 지속해온 한나라당내 박 전 대표의 대권행보도 친이계를 중심으로 이합집산과 동시에 새로운 카드를 거내들 수밖에 없어 김 지사를 향한 몸값(?) 상승을 예고하고 있다.
이로 인해 김 지사의 대권행보도 속도를 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장에 답이 있다’는 김 지사의 특유의 현장행정론이 점차 ‘시민에 의한 변화’의 시대적 화두에 맥을 같이하고 있어 향후 정계구조 변화와 맞물려 힘을 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