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민심 못 읽으면 정당 존립가치 없어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민심의 흐름을 표로 확인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10.26 재·보궐선거가 막을 내렸다. 최대 승부처인 서울시장 보선에서 민심은 기존의 정치질서 대신 시민정치란 새로운 변화를 선택했다. 여야와 시민사회세력이 한데 엉켜 사생결단식 대결을 벌인 선거에서 시민단체 출신의 야권 단일후보인 무소속 박원순 후보가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를 꺾은 것이다. 시민단체 후보가 여야 후보를 차례로 제치고 서울시장에 당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로써 기성 정치지형이 재편되고 내년 총선과 대선의 구도도 달라지는 등 메가톤급 후폭풍이 몰아칠 전망이다. 한국정치가 대전환기의 초입에 들어선 것이다.

박 후보의 승리는 시민사회세력이 기존 정치권을 대신할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또 기존 정치권에 대한 실망과 염증에서 비롯된 ‘안철수 바람’(안풍)이 더 거세질 것임도 예고한다. 안철수 서울대 교수는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로서의 입지를 굳힐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 이름으로 후보조차 내지 못한 민주당으로선 박 후보의 승리에 마냥 환호할 수만도 없는 어정쩡한 처지다. 특히 안 교수가 기존 정치권의 대안으로 떠올랐기 때문에 그를 중심으로 한 제3정당이 출현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이 당면과제로 대두할 야권통합의 과정에서 주도권을 행사하려면 기득권을 과감히 버리겠다는, 간판을 빼곤 다 바꾸겠다는 뼈저린 각오부터 다져야 할 것이다.

한나라당은 지도부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당분간 큰 혼란을 겪게 될 전망이다. 홍준표 대표가 물러나고 유력대선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 당을 강도 높게 개혁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쏟아질 것이다. 나 후보를 적극 지원했던 박 전 대표의 대세론이 크게 흔들리면서 대안 찾기가 본격화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나 후보가 예상보다 크게 졌기 때문에 수도권 의원을 중심으로 내년 총선 필패론이 증폭되면서 보수세력의 전면 개편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무엇보다 한나라당은 이번 선거에서도 드러났듯이 젊은 층의 표를 두려워해서는 미래가 있을 수 없다는 점을 아프게 새겨야 한다. 뼈를 깎는 쇄신을 통해 새롭게 진용을 짜서 희망의 싹을 보여주길 바란다.

이번 선거에선 그 어느 때보다 보수와 진보 사이 이념대결과 20-40대와 50대 이상의 세대 간 대결이 첨예하게 드러났다. 하지만 정치권은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했다. 정치권이 시대와 사회의 변화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스스로 변화의 중심에 서지 못할 때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게 될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