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도지사 하청업체로 전락한 경기개발硏

경기개발연구원 홈페이지를 보면 경기도 및 시·군의 경쟁력 강화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관련 과제를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연구해 국가와 경기도의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지난 1995년 문을 열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보고서를 만들어 냈다는데 이의를 달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경기도지사의 친위대 역할을 자처해 왔다는 끊임없는 지적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경기개발연구원 소속 연구원들이 경기도로부터 매년 100억원 가량의 예산을 지원받아 연구활동에 참여한다고 봤을 때 경기도 정책에 역행하거나 경기도지사의 정치행보에 거스르는 연구업적을 내놓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경기개발연구원 좌승희 이사장이 정관상의 절차를 무시한 채 인근 횟집에 몇명 이사들이 모여 앉아 대충대충 13분만에 선임됐다는 사실은 충격이다. 경기도의회 기획위원회(위원장 강득구)는 지난 7일 경기연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좌 이사장이 지난 3월 8일 제65차 임시이사회 당시 추천해야할 원장과 임명권을 가진 김 지사 모두 공석인 상태에서 곧바로 이사장으로 선임됐다고 폭로했다.

그렇다면 경기개발연구원 이사회는 어떻게 구성돼 있을까. 홈페이지를 통해 각 분야별로 명망있는 전문가로 구성된 이사진 14명을 두고 있다며 이사진을 공개하고 있다. 서울대, 연세대 등 대학관계자 5명, 은행종사자 2명, 도청 공무원 1명, 전 도지사 1명, 지방 언론사 사장 3명 등이 그들이다. 그러나 덕망있다고 소개되고 있는 이들 인사들은 이사장 편법 선임의 책임을 회피하기는 어렵게 됐다.

도의회 행정감사에서는 이밖에 경기연이 공공성을 멀리한 채 김문수 도지사의 대선 싱크탱크 역할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야당 의원들은 경기연의 일부 현안분석 자료가 야당의 정책에 대한 적대적 시각이 강하고 친기업 시각이 노골화된 김 지사 개인의 정치보고서라고는 지적도 있었다.

경기연은 연간 100건이 넘는 연구보고서 가운데 절반 이상이 김 지사의 정책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는 주장이 나올 정도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메가시티, 경기국제보트쇼 등이 김 지사의 핵심사업과 맞물려 있는 연구들이다. 경기국제보트쇼와 관련해서는 경기도가 실적을 부풀려 발표한 자료를 그대로 인용한 보고서를 만들어 질타를 받은 바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이 도민의 삶을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우선 이사장을 포함해 경기개발연구원 이사진을 몽땅 바꾸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