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자유무역협정) 비준안 처리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국회 파국을 막기 위한 여야 협상파들의 절충이 가속화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도 오는 15일 국회를 직접 방문, 여야에 비준안 처리의 협조를 당부하는 등 청와대와 정부의 대국회 및 대국민 설득도 강화되고 있다.
한나라당 황우여·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13일 당내 강경파들의 반발에도 불구, 막판 극적타결 가능성을 열어두고 계속 ‘협상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두 사람은 비준안 처리의 1, 2차 디데이(D-day)로 여겨졌던 3일과 10일 본회의를 취소함으로써 일단 24일 본회의 때까지 시간을 벌었다. 국회가 휴회 결의를 하지 않아 24일 이전이라도 언제든지 본회의를 열어 비준안을 처리할 수 있지만 여야 합의가 없을 경우 본회의는 열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희태 국회의장이 직권상정 등 일방적 국회운영에 부정적인 것도 이런 전망과 무관치 않다.
‘여당의 일방처리와 야당의 물리적 저지반대’ 공동선언을 한 여야 8인의 물밑 중재노력도 활발하다.
공동선언에 참여한 한나라당 주광덕·현기환·황영철·홍정욱 의원, 민주당 박상천·강봉균·김성곤·신낙균 의원은 소속 의원들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설득을 하는 등 지지세 확산에 나섰다.
특히 한나라당 정태근 의원이 한미FTA 합의처리 및 몸싸움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을 촉구하며 국회 의원회관 로비에서 1인 단식농성에 돌입, 협상파에 힘을 보탰다.
핵심 쟁점인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 절충안을 만들어 전체의원 87명 가운데 과반이 넘는 45명의 지지를 이끌어 낸 민주당내 온건파들은 손학규 대표 등 강경 지도부의 반대에 부딪혀 잠시 ‘숨고르기’를 하고 있으나 여건이 되면 다시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대통령의 국회 방문이 한미FTA 정국의 흐름을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