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공동으로 수행하는 ‘2011년 가계금융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거주자의 연간 경상소득은 평균 4천349만원으로 비수도권 거주자(3천701만원)보다 17.5% 많았다.
경상소득에서 세금, 연금, 이자 등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은 3천485만원으로 비수도권(3천96만원)원보다 고작 12.6% 많았다. 그런데 수도권 거주자의 부채는 무려 7천336만원에 달해 비수도권 거주자(3천241만원)보다 126.3%나 많았다. 수도권 거주자가 빚이 많은 이유는 무엇보다 집값이 비싸기 때문이다. 이는 수도권과 지방 거주자의 대출 현황을 보면 잘 드러난다. 신용대출은 수도권 거주자가 719만원, 비수도권 거주자가 539만원으로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 반면 주택대출이 대부분인 담보대출은 수도권 거주자가 3천993만원으로 비수도권(1천796만원)의 두배를 훨씬 넘는다.
가계의 빚 상환능력은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실정이다. 자산보다 부채가 더 빠르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저소득층과 자영업자, 연령별로는 20∼30대 가구의 재무건전성이 크게 나빠졌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한파가 이들 취약계층에 집중됐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적자인생’인 것이다.
직업 특성상 사업자금 대출이 많은 자영업자의 가계 빚도 심각하다. 자영업자의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59.2%로 상용직(78.9%)의 두 배가 넘는다. 이들의 신용대출은 1년 사이 30% 넘게 증가했다. 사업자금을 마련하거나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자영업자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상황에서 최근 자영업자 수가 증가세로 돌아서 경쟁이 치열해진 점은 매우 우려스럽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와 30대의 빚 증가속도가 빠르다. 30세 미만의 부채증가율은 34.9%로 가장 높았다. 30세 미만은 또 전월세 보증금, 생활비, 교육비 마련 등을 위해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에 의존하는 비율이 크다. 30대는 재무건선성이 가장 나쁜 것으로 조사됐다. 20, 30대는 미래를 꿈꾸며 안정적 기반을 다져가야 하는 시기인데 빚만 늘어나고 항상 상환 부담을 걱정하며 산다면 불행한 사회다.
실제 조사 가구 4곳 중 3곳 꼴로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경제 상황이 좋아지지 않는다면 이들 취약계층은 허리띠를 더 졸라매야 한다. 정부의 서민금융 지원 노력이 강화돼야 할 것이다. 정부는 실효성 있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를 시급히 마련해 시행하길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