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지사와 최문순 강원지사는 21일 경기도청에서 ‘광역행정협력 협약’을 맺고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 관광·DMZ·남북협력 사업 활성화를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이 협약에서는 ‘비무장지대(DMZ)’ 일대를 생물권보전지역으로 공동 지정해 관리하고, DMZ 일대 접경지역을 세계적 관광지로 개발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키로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미 DMZ 인근지역의 생물권 보전지역 유네스코 등재작업은 지난 9월 환경부, 경기도, 강원도에 의해 공동으로 이뤄졌다. 3개 기관은 이때 DMZ(435㎢)와 법정보호지역(습지, 천연기념물, 산림유전자원, 백두대간 등 426㎢) 중심의 핵심지역(861㎢), 민통선 위주의 완충지역(693㎢), ‘접경지역지원 특별법’에 의한 접경지역 중 민통선 인접 생활권인 전이지역(1천425㎢) 등 총 2천979㎢에 대해 유네스크 등재를 추진했다.
지정이 확정되면 유네스코의 ‘세계 생물권 보전지역 네트워크 규약(The Statutory Framework of the World Network of Biosphere Reserve)’에 따라 생태계 보전은 물론 지역 사회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다양한 관리 방안이 적용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이들지역의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다는 보도다.(본보 11월 22일자)
이들 지역이 다름 아닌 농경지 침식이라고 하니 관계당국의 안일한 대처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상태가 심각한 것은 산림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분포율을 보이고 있는 농경지다. 농경지에 현대식 농수로가 만들어지고 치수 시설이 갖춰지면서 야생동물의 서식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특히 물 웅덩이를 서식지로 하고 있는 국가지정 멸종위기종 금개구리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DMZ 일원에는 67종의 멸종 위기종을 포함해 2천716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고 하니 이들 동식물의 생존여부도 불투명해지고 있다. 도는 이같은 생태계 파괴를 막기 위해 민간차원에서 문화유산 및 생태계적으로 보전가치가 큰 지역을 매입 또는 기부받아 공유화해 연구 보전·관리하는 ‘국민신탁제도’를 도입할 계획을 갖고 있지만 내년 6월 열리는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Man and the Biosphere) 프로그램 국제조정이사회에서 ‘DMZ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 여부가 최종 확정될 예정이어서 시간이 촉박하다.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든 생태계의 보고인 DMZ 인근지역의 생물권 보전지역 유네스크 등재를 떠나 이들 지역의 자연상태가 파괴되는 일은 지금 당장이라도 금지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