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은 분단의 아픔을 그대로 보여주는 역사와 긴박한 분단현장을 품고 있다. 원래 옹진군은 행정구역상 황해도에 속했던 지역으로 우리나라 지도상 옹진반도를 근거지로 삼았다.
그러나 일제로부터 나라를 되찾은 1945년, 9월 2일에는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분할점령으로 옹진군 대부분이 소련군정에 들어갔으며 같은해 11월 4일에는 황해도의 38선 이남지역만이 경기도에 편입됐다.
결국 옹진군은 나라를 되찾자 분할되는 비운(悲運)을 맛봤으며 이는 시작에 불과했다.
1989년 영종면과 용유면을 인천시 중구에 뺏기더니 1994년에는 대부면 이 안산시로 넘어갔고 다음해인 1995년에는 옹진군의 호적이라고 할 행정구역마저 경기도에서 인천시로 옮겨졌다.
무엇보다 남북간 대치하는 분단상황에서 북측과 살을 맞댄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제1,2차 연평해전이 코앞에서 벌어지는 것을 지켜봐야 했고 드디어 작년 11월 23일에는 북한군의 포탄이 연평도로 직접 날아들어 군인은 물론 지역민이 희생당하는 아픔을 겪었다.
역사적으로 항상 소외의식 속에 시달려 온 주민들이 이제는 직접적인 생명의 위협까지 느끼며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옹진군의 행정을 책임지고 있는 조윤길 옹진군수가 갑자기 “인천시를 떠나 경기도로 행정구역을 옮길 수 있다”는 뜻을 밝혀 지역사회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옹진군과 주민 대부분이 지역발전을 위해 절실하다는 ‘굴업도개발사업’에 대해 인천시가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데 대한 반감이다.
굴업도개발은 옹진군의 최대현안사업으로 3천50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통해 대규모 관당단지를 개발해 인구가 채 2만명도 안되는 옹진군에 고용효과 1만7천여명과 5천700여억원의 생산유발효과를 일으키겠다는 것으로 옹진군이나 주민들이 거절하기 힘든 달콤한 유혹이다.
그러나 문제는 대규모 관광단지 개발을 위해 골프장이 꼭 필요하다는 민간기업과 시민단체의 반대와 환경보전을 위해서는 골프장을 개발계획에서 삭제하야 한다는 인천시의 입장이 상충돼 사업이 중단될 위기에 봉착했다.
이에 옹진군이 최후의 카드를 던지고 결사항전에 나선 것이다. 여기에는 그동안 옹진군이 인천시에 품고 있던 감정이 녹아있기도 하다.
옹진군 공무원들은 지난 연평도 포격사건의 후속대책과 옹진군에 대한 각종 지원정책에서 보여준 인천시의 미진함에 대한 서운한 감정을 숨기지 않고 있다.
이미 옹진군의회와 인천시의회가 굴업도개발을 촉구하는데 의견을 모았고 주민들 역시 각종 설명회를 통해 여론을 형성한 상황으로 물러설 퇴로는 없을 전망이다. 이제 공은 인천시로 넘어갔다.
/김진호 편집이사·인천편집경영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