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설] ‘주5일수업’ 양극화 해소책 마련해야

새 학기부터 전국의 초·중·고교에서 주5일 수업제가 전면 실시된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실태조사에서도 전국의 1만1천493개 초·중·고 가운데 99.6%가 주5일 수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토요일에 학교에 안 가는 ‘놀토’가 격주에서 매주로 확대되는 것이다.

주5일 수업의 전면 시행은 우리 사회 전반의 추세가 주5일제로 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이로써 우리 사회는 2004년 주5일 근무제가 도입된 이후 9년 만에 ‘주5일제 사회’로 진입하게 됐다.

주5일제 수업의 긍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다. 우선 학생은 학습 부담이 적어지면서 자유롭고 창의적인 체험활동을 늘릴 수 있다. 교사는 근로시간이 단축되는 데 따른 자기계발 시간을 활용해 능률과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학부모도 가정교육과 자녀와의 체험학습 기회를 늘릴 수 있어 가족 간 유대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가계소비가 늘어나고 내수가 살아나는 등 산업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학부모들의 표정은 그다지 밝지 않다고 한다. 개학이 코앞인데도 토요프로그램 등을 제대로 갖춘 학교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새 학기 시작이 임박해서야 지자체의 지원 예산이 내려오는 바람에 현황 파악과 준비가 안 끝난 학교가 상당수라고 한다. 이처럼 엉성하기 그지없는 학교의 준비상태 때문에 학부모들은 사교육비가 늘어날까 걱정이 태산이다.

당장 토요일 날 일하는 저소득층과 맞벌이 부부에겐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반면 학원가에선 ‘논술 토요반’, ‘심화수학 토요반’ 등을 신설하는 등 ‘놀토 특수’로 신났다고 한다. 교과서에 나오는 유적지 견학 등 현장체험 학습 사설업체들도 벌써부터 호황을 누리고 있다. 실제로 업체를 통해 유적지나 박물관 등에 보내면 하루 한 명당 5만여원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사교육비 부담이란 볼멘소리가 나올만하다.

준비가 덜 된 채로 실시되는 주5일 수업은 교육의 양극화를 부채질할 가능성이 높다. 가정 형편이 좋은 아이들은 사교육을 통해 학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반면 저소득층 자녀들에겐 피시방 등 방황의 시간만 더 늘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정부뿐 아니라 학부모, 학교, 지역사회가 정교한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등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무엇보다 토요프로그램을 대폭 확충해 홀로 방치되는 아이가 없게 해야 할 것이다. ‘놀토’ 에서마저 사교육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온 사회가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