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행동이 누군가를 볼모로 한다면 심각한 일이다. 한참 전 일이지만 의료분쟁이 일어났을 때 의사들이 진료를 거부했던 일이 생생하다. 그러한 집당행동 이면에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겠지만 피해자가 우리 주변에 있는 이웃이라고 생각하면 자제했어야 마땅하다.
전국 민간 어린이집들이 보육료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27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집단 휴원을 예고한 첫 날 실제 문을 닫은 어린이집이 많지 않아 일단 ‘어린이집 대란’을 피했다. 그러나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측이 오는 29일 당직 교사 등까지 모두 손을 놓는 완전 휴원을 경고하고 나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휴원으로 아이를 보육시설에 맡기고 일터로 나가야 하는 맞벌이 부부 등이 특히 큰 불편을 겪게 됐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어린이집은 휴원에는 동참하되 당직 교사 배치 등 임시 조치를 취해 후유증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실제로 문을 닫은 어린이집은 그다지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어린이집연합회는 이번 휴원 이유로 보육료 현실화와 규제 철폐 등을 들고 있다. 보육료에 대한 정부지원의 경우 교육과학기술부 관리감독을 받는 유치원은 종일반 지원 명목으로 1인당 5만~10만원을 1인당 20만원의 기본경비와는 별도로 추가지원 받지만 보건복지부 소관의 어린이집은 그 추가지원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보육료와 보육교사 임금을 동결해 운영환경이 열악해졌다고 하소연한다. 이와 함께 과도한 특별활동비 규제도 풀어달라고 정부에 호소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27일 치러지는 연합회의 민간분과위원장 선거를 염두에 두고 현 집행부가 지지세력을 결집하기 위해 집단행동을 결의한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유야 어찌 됐든 어린이집연합회의 집단휴원은 커다란 파장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휴원이 장기화할 경우엔 더욱 그렇다. 정부는 휴원의 파급효과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보육료 현실화와 보육교사 처우개선은 이미 단계적 인상계획을 밝힌 바 있다며 부모와 어린이를 볼모로 집단행동하는 것은 유감이라고 말한다.
어린이집연합회는 29일 전국의 어린이집이 모두 당직교사 없이 문을 닫는 ‘100% 휴원’을 할 것이라고 벼르고 있다. 정부는 상대적 소외감과 피해의식을 갖고 있는 연합회 측과 얼굴을 맞대고 진지하게 대화해 해결방안을 찾아봐야 한다. 연합회측 역시 자신의 뜻을 관철키 위해 어린이들을 볼모로 삼는 것은 정당성 획득은 물론 여론의 지지도 받기 힘들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