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특별점검단은 28일 4대강 현장을 집중 점검한 결과 16개 보의 구조적 안전에는 문제가 없으나 하상 세굴, 지천 합류부 하상변동, 어도 등에서 일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특별점검단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16일까지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보·수문·바닥보호공·하상유지공 등 주요 시설물을 조사했다”면서 “특히 그동안 제기됐던 하상세굴로 인한 보 안정성, 누수 등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점검했다”고 밝혔다.
또 이번 조사 결과, 현재 진행중이거나 시행 예정인 보수·보강공사를 철저히 이행하고 보 누수, 하상 세굴 등을 지속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점검단은 “지금까지 발생한 세굴로 보의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은 아니지만 세굴 진행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면서 “창녕함안보 등 일부 보는 지반 조건, 세굴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한 보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점검단은 이어 “어도 조사 결과 유속이 다소 빠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어도의 효율, 어도 이용어종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갑작스런 수위 저하로 어도 내에 물고기 고립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식 양수기 비치 등의 비상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4대강 추진본부는 이번 점검 결과에 따라 시공사가 철저히 보완한 후 책임감리원(감독)의 확인을 받아 준공 검사원을 제출토록 하는 등 준공 이전에 미비점을 완벽히 보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음향측심기 또는 3차원 음향 영상탐사기 등을 활용해 보 유지관리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도록 할 방침이다.
추진본부는 “점검단의 권고사항을 하상변동 모니터링 등을 통해 이미 시행하고 있지만 앞으로 더욱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반대단체에서 분명한 근거없이 의혹을 제기했던 사항들에 대해 철저히 검증한만큼 불필요한 논란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