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복지사는 장애인, 여성, 청소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돌봄이 필요한 모든 계층을 지원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특히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수불가결한 직종으로 손꼽힌다. 복지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자의 기초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우리사회의 최전선 일꾼이다. 그런데 이들 사회복지사들의 하는 일은 전문가인데, 처우와 노동 강도는 그렇지 못하다. 사회복지사들 사이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대상’이라는 우스개소리가 있다. 또 ‘사회복지사인 남녀가 결혼을 하면 기초수급자가 된다’는 농담이 진담처럼 들리는게 현실이라고 한다. 대기업에 취직한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사회복지사의 월급여는 100만~150만원에 그쳐 사회사업의 푸른 꿈이 생활고(生活苦) 앞에서 좌절하기 일쑤다.

또 현장을 누비는 사회복지사들은 전문성을 살린 사회복지 업무외 빨래, 설거지, 밥짓기 등 각종 잡일까지 떠맡아 대표적 3D업종이라고 하소연한다. 새벽부터 밤까지 24시간 이어지는 노동의 강도는 상상을 초월한다. 이들의 고단한 삶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부족이 근본원인이다. 또 진입장벽이 너무 허술하고 자격증이 남발돼 지원효과가 집중되지 않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사회복지사는 2년제 대학이상의 관련학과를 졸업하면 곧바로 사회복지사 자격이 주어지고, 사회교육원 등에서도 관련교육을 이수하면 3급 자격증이 부여된다. 또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학점은행제를 통해서도 어렵지 않게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

얼마 전부터 대학, 학원 등이 ‘쉽게 전문자격증을 딸 수 있다’며 엄청난 광고공세를 펼쳐 가정주부들을 비롯한 유휴인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 시장에 뛰어들어 이제는 자격자가 10만 명에 근접했다. 문제는 사회복지 전문가를 희망하는 이들이 아닌 유망업종의 자격증으로 쉽게 돈벌이를 하려는 수단으로 전락하는데 있다. 즉 초등학교시절 장래희망란에 ‘어려운 사람을 돕기’라고 써넣던 이들이 아닌 부업감을 찾는 이들의 목표가 된 것이다.

무엇보다 사회복지사는 뚜렷한 철학과 충분한 전문지식을 가진 전문직업인으로서 책임감과 사명감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투자는 낭비가 아닌 우리가 지불해야 할 사회적 비용중 하나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없이는 사회복지 전문가 양성은 요원하다.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에는 김문수 경기지사의 사위와 딸을 포함한 2만명에 이르는 사회복지사가 있다. 사회복지사의 처우개선은 곧바로 우리사회 복지수준을 개선하는 효과로 나타날 것이다.

/김진호 편집이사·인천편집경영본부장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