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의회 민주통합당 소속 시의원 7명과 남양주시가 성명서 공방전을 벌이는 등 대립각을 세우고 있어 시민들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일부 시민들은 이들의 성명서가 의장 선출이 자신들의 뜻대로 되지 않으면서 이어진 의회 파행에 대한 시민들의 비난을 집행부로 돌리고 의회 복귀를 위한 명분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성명서를 통해 이들은 전 시의원의 대형 비리사건과 관련, 남양주시장의 연루 의혹을 간접적으로 제기해 확실한 근거없이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남양주시의회 민주당 소속 시의원 7명은 지난 5일 ‘김모 전 시의원 비리사건에 대한 입장’이란 성명서를 언론에 배포했다.
이 성명서에서 이들은 “김모 전 시의원은 시장의 복심이라고 할 정도로 다른 시의원이 감히 넘볼 수 없는 막강한 시장의 신임과 힘을 갖고 장관급 비리를 저지를 수 있었다고 보여 진다”고 추상적인 주장을 펼쳤다.
이들은 또 “집행부의 수장으로서 남양주시와 시민의 명예와 자존심을 훼손한 책임 및 직·간접적인 정치적, 행정적 책임은 면할 수 없을 것”이라며 “남양주시에 만연된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가칭 ‘남양주시부정부패척결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상설로 부정부패의 진상을 낱낱이 파헤치겠다”고 전했다.
이들의 이같은 주장은 무책임한 폭로와 비방이란 지적과 함께 마치 남양주시가 부정부패의 온상인 것 같이 매도되면서 남양주시 공무원들의 명예를 훼손한 마녀사냥식 여론몰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한편 시민들은 남양주시가 밝힌 ‘남양주시 입장’이란 반박 발표문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시민들은 시의회가 지난 6월7일 요구한 자체진상조사 결과를 밝히고 향후 재발방지 대책을 강력히 촉구한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와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시장이 집행부의 수장으로서 사건 자체가 행정과 연관된 사건이므로 재판중에 있다 해도 이 사태에 대한 진상을 시민들에게 밝혀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이와함께 시 행정과도 연관있는 부분들이 있다면 시에서도 먼저 적극 나서 시민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 당연한데도 몇가지 사안에 대해 시의회에 대책을 떠넘기는 것은 안일한 대처라고 일침을 놓았다.
시민 A씨는 “의원들은 시민들을 앞세워 자신들의 힘을 키우고 뜻을 관철시키려는 것처럼 보이고, 시는 유리한 입장만 표명한 것처럼 보인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