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 치킨, 커피 등 프랜차이즈 형태의 업종 대부분이 하반기 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PC방은 최근 유명 게임업체의 신제품 출시로 호황이 예측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300여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2년 하반기 프랜차이즈 산업 경기전망 조사’, 올해 하반기 경기전망이 73으로 집계돼 기준치(100)에 크게 밑돌았다고 8일 밝혔다.
프랜차이즈 산업 경기전망지수는 100을 넘으면 이번 반기 경기가 직전 반기보다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화장품(100)은 불황에 따른 중저가 화장품 인기에도 불구하고 수입 화장품의 저가공세로 인한 고전이 예상돼 보합세를 보였다.
또 ‘커피’(95), ‘편의점’(90), ‘치킨’(79), ‘이·미용’(74), ‘제빵·제과’(71), ‘건강식품’(67), ‘외식’(67), ‘문구·사무용품’(65), ‘교육’(62), ‘주류’(60), ‘자동차관련 서비스’(53), ‘피자’(51) 등도 불황에 따른 소비감소로 하반기에 상대적으로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PC방(156)은 국내외 유명 게임업체의 신제품 출시에 따른 호황이 예상됐다. 프랜차이즈 산업 전체적으로는 당기순이익(69), 매출액(87)이 기준치에 못 미쳐 수익구조가 악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맹점포 수(128), 직영점포 수(116)는 기준치를 상회해 점포 수 증가에 따른 외연확대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유망할 것으로 예상하는 트렌드로는 ‘웰빙’(43.5%)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레저·오락’(18.8%), ‘친환경’(17.6%), ‘건강’(5.9%), ‘저가제품·서비스’(3.5%), ‘교육’(2.4%), ‘카페형 점포’(1.2%) 등이 뒤를 이었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불확실한 대외경제의 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될 거라는 우려가 내수산업인 프랜차이즈 산업의 경기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면서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대외악재를 견딜 수 있도록 경영효율화와 시장개척 등 대책수립을 서둘러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