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新 고졸인재시대’ 정착하나

기업 5곳 중 1곳은 최근 2~3년간 고졸 채용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기업 310개사를 대상으로 ‘고졸 채용에 대한 인식 변화’를 조사한 결과, 최근 2~3년간 고졸 채용규모 변화를 묻는 질문에 21.0%의 기업이 ‘늘렸다’고 답했다고 9일 밝혔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24.0%, 중소기업의 17.9%가 고졸 채용을 확대했다.

대한상의는 “마이스터고·특성화고 확대, 선취업·후진학 지원 등 2010년 이후 본격화된 정부의 고졸 취업활성화 대책과 기업의 노력으로 진학 대신 취업을 택하는 우수 고졸인재들이 많이 늘었다”고 풀이했다.

최근 고졸 취업자의 직무능력에 대해서도 응답기업의 44.2%가 ‘2~3년 전 취업인력에 비해 향상됐다’고 답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전과 비슷하다’는 응답은 49.7%, ‘저하됐다’는 응답은 6.1%로 나타났다.

고졸자 채용시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항목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직업훈련·인턴 등 실무경험’(41.6%)을 꼽았다. 이어 ‘조직적응력 및 대인관계’(26.8%), ‘자격증 및 외국어 성적’(9.4%) 등을 차례로 꼽았다.

고졸 채용을 위한 기업들의 제도 역시 개선돼 ‘대졸자와 동등한 승진 기회를 제공한다’는 곳이 응답기업의 57.7%로 조사됐다. ‘초봉 인상 및 복리후생 개선’(46.8%), ‘공채시 학력 철폐’(44.5%), ‘생산직 외 타 직군도 개방’(43.5%) 등의 활동도 비중이 높았다.

박종갑 대한상의 상무는 “학력보다 능력을 우선시하는 신(新) 고졸인재시대가 기업 현장에서 뿌리내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