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부동산 경기 상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작년 하반기 때보다 확대됐다.
다만 향후 전망은 최소한 현 수준을 유지하며 더 이상 나빠지지 않을 것으로 예측해 집값 바닥론이 힘이 실리고 있다.
10일 부동산114와 한국갤럽이 국내 만 19세 이상 남녀 1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52.6%)이 거주지역을 기준으로 현재의 부동산 경기가 ‘나쁘다’고 평가해 직전 반기 조사(43.7%)에 비해 부정적인 평가가 더 두드러졌다.
특히 수도권(71.4%) 거주자는 지방(33.5%)에 비해 ‘나쁘다’는 응답률이 두 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수도권과 지방간 주택시장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지역에 따라 경기 인식이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향후 1년 동안 당해 지역의 부동산 경기가 어떠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67.9%가 ‘지금과 비슷한 수준일 것이다’라고 응답했다.
또 수도권 집값 바닥 시점을 묻는 질문에 수도권 거주자 2명 중 1명(48.4%)은 올해를 집값 바닥 시점으로 꼽았다.
현재를 집값 바닥 수준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45.5%는 ‘저가, 급매물은 거래되고 있어서’를 주된 근거로 들었다.
그러나 집값 바닥 인식과 별개로 매수 타이밍을 뒤로 미루는 경향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상가, 토지 등의 부동산을 매수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0.6%가 ‘2014년 이후’라고 답했다.
올 하반기와 내년을 꼽은 응답자는 각각 14.4%, 24.9%에 그쳤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바닥 인식이 매수세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현재 경기 상황에서 더 악화되지는 않더라도 회복이 더디거나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