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김문수·김태호, 與 경선 흥행 불씨 지필까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에 이어 김문수 경기도지사, 김태호 의원이 새누리당 대선 경선에 뛰어들었다. 오랜 장고 끝에 일단 ‘최소분모 경선’의 모양새를 갖추게 됐다.

완전국민경선제 요구가 좌절하자 경선불참을 선언한 정몽준·이재오 의원이 빠진 대신에 이들 두 사람의 등장으로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과 안상수 전 인천시장 등과 함께 5파전 구도가 짜여졌다.

김 지사는 “새누리당의 재집권과 대한민국의 발전을 바라는 많은 분들의 염원을 뿌리칠 수 없었다”, “십자가를 짊어지는 심정으로 나아가겠다”는 말로 출마의 선택이 고심 끝에 내린 결단임을 드러냈다. 그동안 경선 참여를 놓고 명분과 실리의 괴리로 고민을 거듭하면서 불참과 참여를 오락가락해온 점에 비춰 ‘김문수 답지 않은 행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물론 현실적인 이유 때문이다. 부동의 여론조사 1위를 지속해온 박 전 위원장의 ‘페이스 메이커’에다 ‘경선 흥행을 위한 불쏘시개’ 외에는 2위 다툼을 해야할 현실적 셈법 탓이다.

김 지사는 정몽준·이재오 의원과 함께 이른바 비박(비박근혜) 3인방으로 불리며 박 전 위원장과 당 지도부에 완전국민경선제를 요구, 수용되지 않을 경우 경선불참의 배수진을 쳐왔다.

정·이 의원은 공언한 대로 완전국민경선제 요구가 거부되자 경선불참을 택했지만 김 지사는 애초의 마음을 바꿨다.

그 배경에는 비록 지금의 지지도를 볼 때 박 전 위원장과의 대결이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에 비유될 정도이지만, 정면돌파를 택해야 2017년 차차기 대권의 길이 열릴 수 있다는 정치적 셈법이 깔려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측근으로 ‘경선 참여파’로 분류되는 차명진 전 의원도 김 지사의 결단을 강하게 촉구했던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황우여 대표와 박근혜 경선캠프도 김 지사의 참여를 간접 설득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김 지사측 관계자는 다만 “고심을 많이 했고 보수진영에서 대한민국을 살리는데 힘을 보태야 한다고 출마 권유가 많았다”면서도 “박근혜 경선캠프의 홍사덕 위원장이 출마하라고 했다는 말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김 지사의 측근인 김용태 의원의 ‘캠프 이탈설’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그러나 당장 김 지사는 자신의 식언(食言)에 대해 ‘해명’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그는 “대선승리를 위해 완전국민경선제가 필요하며 경선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경선에 참여할 생각이 없다”고 반복적으로 밝혀왔다.

다시 말해 상황은 전혀 바뀐 것이 없는데 ‘새누리당의 재집권’을 명분으로 들어 자신의 입장을 180도 바꾼 데 대해 명쾌하게 설명아닌 해명을 해야 하는 입장에 처해 있다.

가깝게는 지난 4월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도지사직 사퇴를 번복한데다, 지난 2010년 6·2지방선거에서도 ‘대선에 출마할 생각이 없다. 경기도지사직에 충실하겠다’고 공언한 것과는 달리 어쩔 수 없이 등 떠밀려 나서는 모양새를 거듭하는 ‘핑계거리’를 앞세운 점도 마찬가지다.

이런 이유 등으로 여권내 별다른 세력이 없는 김 지사가 경선판에서 박 전 위원장을 위협할 수 있는 의미있는 경쟁력을 보여줄 지에 대해서도 여전히 의문부호로 남고 있다.

이 때문에 김 지사가 오히려 김태호 의원이나 임 전 대통령실장 등과 빠듯한 2위 싸움을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동안의 행보에 대한 실망감으로 당초의 ‘김-김 다툼’에 한발 밀렸다는 평가인 셈이다.

여권에서는 결국 당의 주류를 형성한 친박(친박근혜)계의 의중이 경선구도와 흥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박 전 위원장의 독주 행보를 적절한 수준에서 조정하고 지지를 분산하는 ‘보이지 않는 손’의 역할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