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태풍 예보로 인한 비상근무 지시에도 불구 오산시의 6급 이상 공무원 ⅓가량이 이에 불응하는 등 재난대비 비상근무 체계가 허술하다는 지적(본보 20일자 1면 보도)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시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민간 차원의 지역자율방재단 역시 지난 태풍 당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시의 관리 부실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22일 시에 따르면 오산시지역자율방재단은 평상시 예찰활동 등을 통해 재해를 예방하고, 재해발생시 주민대피 유도, 차량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해 시민의 생명 및 재산피해 경감에 기여할 목적으로 지난 1997년 사회단체와 통장들로 결성된 단체로 시가 매년 교육비를 포함해 1천여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자율방재단은 그러나 이번 태풍에 대비한 사전 예찰활동, 그리고 태풍상륙 당일 본연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시 관련부서에 재난대비 예방이나 재해 발생 시 임무수행후 제출하는 활동보고서가 전무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로 인해 매년 지급되는 보조금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재연될 조짐이다.
또 270여명으로 구성된 자율방재단에는 연간 460~500만원의 보조금을 별도로 지급하는 시 재난방재과 소속 7개 사회단체 회원들이 중복적으로 가입돼 있어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는 보조금 부당사용 내역이 지적돼 290만원을 시에 환수 조치됐으며 지출증빙서도 투명하지 않았다.
정산 내역 중 유류비 명목으로 단 하루에 150만원이 쓰였는가 하면 규정상 식대비가 3%를 넘지 않아야 하나 한 식당에서 100만원을 임의대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는 모두 12월 말에 사용된 것으로 연말에 급하게 짜맞추기식으로 결산서를 제출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시의 민간에 대한 경상적 보조 내지는 사회단체 보조금, 기타 행사보조 등 각종 보조금에 대해 전반적인 점검 및 감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오산시 재난관련 제반 시스템의 실효성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며 “타당성 검토를 통해 사업비 지원사항을 확인하고 지출증빙서가 투명하게 작성되도록 매뉴얼을 작성해 체계적인 관리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산시자율방재단장은 “이번 태풍 예보에 따라 관내 6개동의 취약지구에 대해 2인 1조로 예찰활동을 수행했다”며 “다만 특별한 보고사항이 없어 활동보고서를 미제출한 것인데 임무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지적은 유감”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