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의 연립·다세대·단독주택 등의 월세가격이 크게 올라 오피스텔의 월세 상승률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는 최근 2년 간 서울·경기·인천의 주택형별 월세가격지수를 분석한 결과 전 지역에서 연립·다세대·단독주택의 월세가격지수 상승률이 오피스텔보다 높았다고 7일 밝혔다.
서울은 7월 연립·다세대의 월세지수가 지난 2010년 6월에 비해 7.8% 오른 반면 오피스텔과 아파트는 각각 4%와 1.5% 오르는 데 그쳤다.
지역별로는 한강을 기점으로 강남(한강이남 11개 자치구) 연립·다세대가 8.7%, 강북(한강이북 14개 자치구)은 6.9% 올라 서울 전역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였다.
경기도와 인천에서는 한 건물에 여러 원룸이 있지만 소유주는 한명인 단독주택 월세가 인기를 끌었다.
경기도 단독주택의 월세지수는 2년간 7.1% 올라 모든 주택형에서 가장 높았다. 월세변동률 2위는 오피스텔로 6.9%를 기록했고 연립·다세대는 3.1%에 그쳤다.
인천은 단독과 오피스텔이 각각 2.6%, 1.3% 올라 단독의 월세상승률이 오피스텔의 2배였다. 동기간 아파트는 9.8%, 연립·다세대는 3.8%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