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대형유통업체 횡포 “해도 너무한다”

납품업체에 대한 대형유통업체의 횡포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유통업체들이 납품업체 판매수수료를 조금 내려주는 대신 판촉행사비, 인테리어비, 물류비 등의 비용부담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11개 대형유통업체의 판매수수료 수준과 추가부담 실태 분석’ 자료에 따르면 롯데, 현대, 신세계 등 3곳 백화점의 납품업체에 대한 평균 판촉행사비는 지난해 140만원으로, 2009년 120만원 보다 17% 증가했다.

평균 인테리어비도 4천430만원에서 4천770만원으로 8% 늘었다.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3대 대형마트의 경우 납품업체당 파견 받는 판촉사원 수는 41.1명에서 53.4명으로 30% 급증했고, 평균 판촉행사비는 1억5천10만원에서 1억8천만원으로, 평균 물류비는 1억2천180만원에서 1억4천550만원으로 각각 20% 올랐다.

반품비용 역시 3억1천20만원에서 4억3천170만원으로 39% 늘었다.

GS, CJO, 현대, 롯데, 농수산 등 5대 홈쇼핑이 개별 납품업체에게 부담시키는 평균 ARS(자동응답시스템) 비용은 3천130만원에서 4천850만원으로 55% 증가했다.

이처럼 납품업체의 각종 부담은 계속 늘어났지만 대형유통업체들의 판매수수료 인하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수준이다.

2010년과 2012년을 계약서 기준으로 비교하면 백화점(29.7%→29.2%)은 0.5%p, 홈쇼핑(34.4%→34.0%)은 0.4%p, 대형마트(판매장려금기준·5.4%→5.1%)는 0.3%p 내리는 데 그쳤다.

납품업체의 추가부담이 증가한 원인에는 대형유통업체들의 독과점이 심화됐기 때문이다.

공정위는 지난해 10월 판매수수료 인하 후 대형 유통업체들이 수수료 인하분을 판촉비 인상 등으로 전가하는 ‘풍선효과’가 발생했는지 조사할 방침이다.

지철호 공정위 기업협력국장은 “유통분야 공정거래협약 이행과 장·단기 종합대책 등을 마련해 판매수수료 하향 안정화와 납품업체 %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