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야심차게 준비한 대선후보 순회경선이 모바일투표 공정성 논란에 휘말려 출발 이틀만에 파행을 빚는 등 위기를 맞고 있다.
모바일투표 집계프로그램 오류 사태에 이어 공정성 시비를 놓고 당 선관위와 후보간 책임 공방까지 빚어지면서 경선전 초반부터 삐걱대고 있다.
민주당은 순회경선 이틀째인 26일 오후 울산 종하체육관에서 울산 경선을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손학규·김두관·정세균 등 이른바 비문(비문재인) 후보 3명이 불참했다. 세 후보는 전날 발표된 제주지역 모바일투표 투표율(58.6%)이 역대 모바일투표에 비해 현격히 낮아 도저히 신뢰할 수 없다며 이미 투표가 진행된 제주·울산 재투표와 모바일투표 시스템 전면 수정 등을 주장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울산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공정한 경선 관리를 위해 새로운 경선관리 체제가 필요하고, 그 관리체제에는 후보측 대표들이 옵서버가 아닌 주체로 참여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손 후보측 김유정 대변인이 밝혔다.
이는 현 당 선관위의 경선관리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 선관위 전면 재구성을 요구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앞서 당 대표 선출을 위해 실시된 올해 6·9 전대의 모바일 투표율은 73.4%였고, 지난 1·15 전대(80.0%)와 4ㆍ11 총선(82.9%) 때도 80%를 웃돌았다.
당 최고위와 선관위는 합동 간담회를 열어 제주·울산 모바일 선거인단 투표를 재검표해 문제가 되는 선거인을 절차를 밟아 투표할 기회를 주기로 하고 경선 참여를 당부했으나, 세 후보는 모바일투표 방식 변경 을 요구하며 거부했다.
손 후보 측 김유정 대변인은 “4번 문재인 후보를 찍고 전화를 끊으면 유효이고 문 후보를 거명하기 전에 1, 2, 3번 후보를 찍고 끊으면 투표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됐다”며 “사전에 문제 제기를 했으나 선관위가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선관위 간사인 김승남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투표방식은 후보 기호 추첨 이전에 설계된 것이고 후보 참관인들을 모아놓고 시연까지 했다”고 반박했다.
선관위는 ARS 방식의 모바일투표 때 ‘기호 4번까지 듣지 않고 투표할 경우 기권처리된다’는 안내 코멘트를 넣지 않을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권고도 무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 25일 열린 제주 경선에서 문 후보가 선거인단 유효투표수 2만102표 가운데 1만2천23표(59.8%)를 얻어 1위를 차지한데 이어, 울산 경선에서도 모바일 및 현장투표, 이날 대의원 순회투표를 합산한 결과 유효투표의 52.07%를 얻어 제주(59.8%)에 이어 연이틀 1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