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의 추모공원 건립 후보지 선정과 관련해 안산화장터반대투쟁위원회(이하 반투위)에서 앞장서 활동해온 주민이 23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발생했다. 먼저 고인의 명복을 빈다. 본보는 그간 끊임없는 보도를 통해 안산추모공원 문제를 예의주시해 왔다. 반투위의 주장도 충실히 보도했고 추모공원을 추진하는 안산추모공원건립위원회 위원의 칼럼도 가감 없이 게재했다. 사설을 통해 대화와 타협으로 상생의 결과를 얻으라는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소통은 이뤄지지 않았고 불통의 결과 절망을 느낀 주민이 음독자살이라는 극단의 방법을 택했다. 그리고 그 결과 반투위의 행동은 더 격렬해 질 것이다.
안타깝다. 모든 일이 그렇지만 극단으로 치닫는 것만은 막아야 하는데 이런 일이 벌어졌다. 고인의 형이 한 말은 비수가 돼 가슴에 꽂힌다. “다함께 잘 살자는 것이 행정인데, 시는 후보지를 선정해 발표하고서도 반대 주민들을 철저히 외면한 채 일방적인 화장장 건립을 추진해 양상동 주민 모두가 극심한 스트레스로 고생하고 있다”고.(본보 25일자 7면) 그렇다. 주민들이 원하는 것은 소통이다. 고인의 형은 이렇게 덧붙인다. “화장장 건립을 무조건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김철민 시장이 끝까지 소통을 외면하면 제2, 제3의 사고를 부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안산시와 추모공원건립위원회 관계자들이 귀담아들어야 할 얘기다.
반투위의 주장은 시가 추모공원 건립 후보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공정성과 객관성이 결여됐다는 것이다. 또 여론조사와 주민수용도 평가도 왜곡되거나 조작돼 신뢰성을 잃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부지 선정은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는 것이다. 화장장은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다. 현재 우리나라 국토는 산소들로 포화상태이기 때문이다. 묘지면적이 1%나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여의도의 절반 크기가 묘지로 잠식돼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우리나라에서 최근 들어 화장을 택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노무현대통령도 화장을 했다. 하지만 화장시설은 터무니없이 부족하기만 하다. 화장장이 부족한 이유는 주민들의 반대 등으로 인해 건립이 쉽게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당연하다. 어느 누가 내 동네에 시신을 태우는 화장터를 유치하겠다고 나설까? 지난해 1월에도 본란을 통해 충고했지만 초기에 이와 흡사한 고충을 겪은 수원시 연화장 등 다른 도시의 사례를 연구하고 벤치마킹해서 주민과의 합의를 이뤄내는 것이 유일한 해결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