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가 24일 정치쇄신안을 놓고 맞붙었다.
안 후보가 전날 인하대 강연에서 정치권의 특권 포기오후 7:40 2012-10-24를 주장하면서 제시한 국회의원 정원 및 정당 국고보조금 축소와 중앙당 폐지 요구를 놓고 정면충돌한 모양새다.
이같은 배경에는 정치 쇄신이 후보 단일화의 전제 조건이라는 점에서 단일화를 위한 기선제압용으로 분석되고 있다.
문 후보는 이날 영등포 당사에서 안 후보의 정치개혁안에 대해 “구체적 방안에 대해서는 선뜻 찬성하기 어렵다”면서 “바람직한 것인지도 의문이고 우리 정치를 발전시키는 방안인지도 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과 정치권의 동의를 모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 있다. 현실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뒤 “좀 더 깊은 고민이 있으면 좋겠다”고 간접 비판했다.
이에 안 후보도 “일반 국민과 정치권의 생각에 엄청난 괴리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정치권부터 솔선수범해 내려놓는 자세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라고 받아쳤다.
그는 또 “민의를 반영하지 않는, 현장의 문제를 풀지 못하는 정치권이 바뀌어야만 한다는 문제의식으로 말씀드린 것”이라며 “정치권은 지금 왜 국민들이 정치권에 대해 실망하고 있는지를 좀 더 엄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다.
이같은 대립각 공방속에 문 후보 측의 진성준 대변인이 “정당혁신의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어떤 내용으로 추진될지 토론하는 게 필요하다”고 제안했지만 안 후보 측은 “아직 일부만 공개된 상황에서 토론은 시기상조”라는 반응이다.
이는 ‘단일화 프레임’으로 끌려 들어갈 수 있는 점을 경계한 것으로 ‘새 정치’를 부각시켜 지지층 확대를 위해서도 표면적으로는 단일화 논의를 피해야 한다는 속내가 깔려있다.
양측은 그러나 정치 쇄신 신경전 속에서도 후보 단일화를 향한 수순을 밟아가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