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24.2℃
  • 맑음강릉 30.6℃
  • 맑음서울 25.2℃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6.9℃
  • 맑음울산 26.0℃
  • 맑음광주 24.3℃
  • 맑음부산 25.8℃
  • 맑음고창 23.7℃
  • 맑음제주 24.7℃
  • 맑음강화 23.3℃
  • 맑음보은 23.2℃
  • 맑음금산 23.5℃
  • 맑음강진군 25.5℃
  • 맑음경주시 27.2℃
  • 맑음거제 24.9℃
기상청 제공

수억 들여 해외교육 시킨 인재 도, ‘엉뚱한 부서’ 배치 여전

도의회 지적…개선 안돼


수십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경기도 공무원의 국외교육훈련 프로그램 이수자들의 교육내용과 무관한 부서 배치 관행이 시정되지 않은 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실시된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이 같은 지적이 제기돼 ‘적극 개선하겠다’고 공언했던 것과는 달리 개선되지 않은 채 되풀이되고 있어 ‘혈세낭비’라는 빈축을 사고 있다.

31일 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학위취득 및 국외훈련 이수자 33명 가운데 42% 이르는 14명이 본인의 훈련과제와는 무관한 부서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복귀한 국외훈련 이수자 9명 중 절반에 가까운 4명이 훈련분야와 연관성 없는 부서에 배치돼 근무 중이다.

도는 지난 4년간 60억여원을 들여 학자금, 체재비, 의료보험료, 항공료(4인가족기준) 및 생활준비금 등을 지원해 학위 연구과정 및 국외훈련 등을 실시했다.

국외훈련자 1인당 지원되는 비용은 연간 6천만원(미국 기준)에 이른다. 2년 과정인 학위연구의 경우 1억2천여만원이 지원되는 셈으로 도는 이들이 귀국 후 학위나 연구과정과 관련한 부서에 우선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난해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도 ‘국외훈련을 통해 양성한 인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인사제도’라며 시정 요구가 잇따르자, 도는 “90% 이상이 관련 보직에 부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일반행정분야 교육훈련과 무관한 농식품유통과 복귀로 지적됐던 A씨를 비롯해 도시정책 분야 훈련 후 교육정책과로 발령받은 B씨 등에 대한 재배치도 1년을 경과한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들은 해당 분야에 대한 결원이 없다는 이유로 이같은 ‘엇박자 배치’로 근무중이다.

도 관계자는 “최대한 훈련분야 맞는 보직을 부여하려 하고 있으나 해당 부서의 결원요인이 없는 경우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훈련과제와 관련된 부서 배치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