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계소득 증가율이 주요 선진국보다 크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임금 상승률이 기업 영업이익의 파죽지세를 따라가지 못하는데다 도소매ㆍ음식숙박 등 소규모 자영업자의 영업 부진이 겹친 탓이다. 가계부채 증가도 소득악화의 요인중 하나다.
한국은행은 14일 ‘가계소득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하고 “고용창출 등 가계소득 둔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1991~2011년 중 우리나라의 가계소득 증가율은 연평균 8.5%로 가계·기업 등을 포괄하는 국민총소득(GNI) 증가율 9.3%를 밑돌았다.
가계소득이 GNI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95년의 70.6%에서 2011년 61.6%로 8.9%포인트나 줄었다. 이 비율은 같은 기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서 평균 4.1%포인트(73.1%→69.0%) 하락보다 두 배가 넘는다.
이는 우리나라 GNI 중 가계로 분배되는 몫이 주요국보다 상대적으로 줄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러한 현상을 기업이익이 가계로 적절히 분배가 되지 않은 결과라는 것이 한국은행측의 분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경제성장의 선순환을 살리고 내수·수출 균형성장모형으로 전환하려면 고용창출 등 가계소득 둔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