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가 큰일이다. 정부청사의 세종시 이전 영향 때문이다. 과천 정부청사의 입주기관들이 세종시로 이전하면 이곳은 도시 공동화 위기에 처하게 된다. 실업률 증가, 아파트 가격 하락 등으로 인한 지역경제 공동화 심화 등 문제가 속출할 것이 뻔하다. 이에 따른 시민들의 상실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과천시는 참 살기 좋은 도시다. 도시계획이 잘 되어 있고 조금만 외곽으로 나가면 산림지대와 전원이 펼쳐져 있으며 도시에는 자전거 도로가 잘 이어져 부러움을 사고 있다. 서울 출퇴근도 용이해 직장인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큰 난관이 닥친 것이다. 과천시에 닥친 위기의 해법은 없을까?
과천시의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 이전 규모가 인구대비 7.4%에 달한다는 분석도 있다. 따라서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지역에 비해 클 수밖에 없다. 이는 경기개발연구원 김태경 연구위원의 ‘과천청사 이전, 과천시와 경기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 발표 내용이다. 김 연구위원에 의하면 지난해 과천시에 있던 기획재정부와 국토해양부 등 6개 기관의 총 3천308명이 세종시로 이전했다. 올 하반기 지식경제부 등 8개 기관이 이전을 끝내면 인구 4천714명이 줄어들게 된다. 또 내년에 이전하는 기술표준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중앙공무원연구원 등 3개 공공기관 인원 613명을 포함하면 총 5천327명이 과천을 떠나는 것이다.
과천시 전체 인구 7만1천955명 가운데 7.4%에 달하는 규모다. 수원이나 성남·안양시에서도 공공기관이 이전했지만 모두 1%의 비율을 넘지 않았다. 대규모 공공시설의 이전은 당연히 실업률 증가와 부동산 경기침체라는 악재를 동반한다. 과천시 실업률은 2010년 1.9%에서 2011년 4.6%로 급속히 증가했다. 아파트 매매가격이 하락하는 동시에 거래도 부진했다.
이와 관련, 김문수 경기도지사도 지난 6일 과천에서 실·국장회의를 주재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여인국 과천시장은 경기도시공사와 과천시가 복합문화관광단지 조성을 위해 공동추진단을 설치·운영하고 과천화훼종합센터에 우량기업이 들어올 수 있도록 도가 적극 나서줄 것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과천지식정보타운 보금자리 주택사업의 경기도 직접 시행 등도 건의했다. 그러나 문제는 정부의 관심이다. 이 자리에서 김문수 지사는 이렇게 말했다. “대통령과 정부가 세종시의 100분의 1만큼이라도 관심을 가져주면 시민들이 힘을 얻어 희망찬 과천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