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Money Q&A]32세 자영업자 재테크 상담

1년 동안 대출상환 후 주택마련자금 저축을
年4%이자 적용 2년후 7천여만+보증금+현 자산=1억3천여만원
미래에셋 저축보험·메리츠 연금저축 등 화폐가치하락 등 위험성

Q. 내년 이사… 보완할 점은?

안녕하세요. 32세 남성으로 자동차 관련 작은 가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월수입은 일정하지 않은데, 평균 500~900만원 정도 수입이 있습니다.

다음은 저의 매월 재무현황입니다.

<대출>

- BMW차량 109만원(2년 만기 1년 후 전액상환 예정)

<저축>

- 적금(1년 만기) 100만원(대출상환용)

- 적금(1년 만기) 50만원(비상용)

- 주택청약 15만원

- 노란우산공제 25만원(15회 납입)

- 장기저축(미래에셋·10년납) 10만원(30회 납입)

- 연금보험(메리츠화재·20년납) 30만원(2회 납입)

<고정지출>

- 가스요금 5~15만원

- 핸드폰요금 13만원

- 집관리비 3만원

- 전기세 5만원

- 인터넷/TV 4만원

- 주유비 20만원

- 개인용돈 100~150만원

현재 독립해서 전세 5천만원에 살고 있으며 내년 8월이 만기입니다. 내년에는 1억5천만원 정도의 전세로 이전하고 싶고, 그 다음해엔 결혼이 목표입니다. 고정지출을 제외하고 통장에 남는 돈 1천200만원은 그냥 두고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 보완을 해야할 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A. 제안하는 포트폴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혼남성의 경우 생활자금은 월 소득의 30% 이하가 적합합니다.

현재 월 평균소득이 700만원이고, 월 210만원을 지출하고 있는 만큼 현재수준의 지출만 넘지 않도록 유지하면 되겠습니다.

보장성보험으로는 실비보험과 종신보험이 남성필수보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재 32세의 남성기준으로 볼 때 위 금액이면 최상의 건강보장과 1억원 정도의 평생사망보장을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보장성보험은 월 소득의 10%를 넘지 않으면 적합한 수준이므로 이대로 진행한다면 매우 적절하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준비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축자금은 크게 주택마련을 위한 자금과 노후대비를 위한 자금으로 각각 8대 2의 비율에 맞춰 준비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사실상 주택마련이 곧 결혼자금에 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고 최대한 안정적으로 원금손실없이 자금운용을 해야하는 만큼 적금위주로 저축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입니다.

월 저축가능자금의 80%인 380만원 가운데 10만원은 기존 그대로 청약에 넣고 노란우산공제 역시 그대로 유지하되, 이 상품은 소득공제혜택과 향후 퇴직금의 의미로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남은 345만원의 자금 중 109만원은 향후 1년 간 대출상환에 투입하고, 이후 1년간 주택마련에 필요자금으로 저축하기 바랍니다.

그렇게 연 4%의 이자를 적용받는다고 가정한다면 2년 뒤 총 7천121만원의 목돈마련이 가능해지며 여기에 기존 보증금 5천만원과 1천200만원의 목돈을 추가한다면 모두 1억3천300여만원의 목돈마련이 가능해집니다.

여기에 추가로 더 얻게 되는 수익금이 있을 수 있다는 변수가 있는 만큼 충분히 1억5천만원의 자금마련이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월 90만원은 노후대비를 위해 변액연금에 가입하기 바랍니다. 노후대비는 사회초년기 때부터 준비해야 하는 필수목적자금이자, 100세 시대를 대비하는 부분에서 미리부터 준비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변액연금은 투자형연금상품으로 장기펀드투자를 통해 물가상승대비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고 비과세혜택으로 세금을 면제받으며 종신연금으로 평생 사망시까지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어 순수한 노후대비에 가장 적합한 금융상품이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만약 월 90만원씩 향후 10년간 납입 후 18년 뒤인 60세부터 연금을 지급받는다면 연 9% 수익을 가정한다면(지난 10년간 발생된 변액연금의 연평균수익률) 매월 241만원의 연금을 평생 지급받을 수 있게 돼 최소한의 노후생활자금마련이 가능해집니다.

다만 보다 많은 연금지급을 위해서는 상품선택시 타사대비 장기수익성이 우수하고 환급률은 높아야하며 무엇보다도 역대 가장 높았었던 수익금으로 연금지급을 확정보장해주는 상품으로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미래에셋의 저축보험은 물가상승대비 낮은 변동금리 적용상품으로 비록 10년 이상 유지시 적금에 비해 높은 이자를 받지만 장기적으로는 화폐가치하락의 위험과 같은 기간이라면 펀드와 같은 투자상품이 더욱 많은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해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됩니다.

메리츠의 연금저축보험의 경우에도 당장에 소득공제를 받는 이득이 있지만 향후 연금수령시 받은 공제액을 연금소득세로 모두 돌려내야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혜택이라 볼 수 없습니다.

또 저축보험과 마찬가지로 화폐가치하락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 변동금리상품이기 때문에 아까운 자금과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는 상품이라 평가하며 하루빨리 해지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드립니다.

<자료제공 : 모네타(http://www.moneta.co.kr) → 재테크상담&교육 → 전문상담/간편상담 → 상담신청>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