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악산(936m)은 ‘작은 금강산’으로 불리는 가평의 명산이다. 기암괴석과 수려한 봉우리들로 구성돼 산세가 빼어나다. 따라서 관악-화악-치악-송악산과 함께 중부지방 5대 악산 중 하나로 불리며 등산객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유적지도 많다. 주봉 만경대를 중심으로 산세가 험하고 기암절벽으로 산을 이루고 있어 그 경치가 절경이다.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된 고찰인 현등사를 비롯, 궁예성터, 궁궐터, 만경대, 신선대, 병풍바위, 미륵바위 등 고적과 명승이 즐비하다. 그런데 4·24 가평군수 보궐선거의 최대 관심사로 운악산 케이블카 설치 문제가 떠올라 후보자 간은 물론 가평군민 사이의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가평군수 보궐선거에 출마한 한 무소속 후보가 ‘운악산’ 케이블카 설치를 핵심공약 중 하나로 내건 것이다. 이후 운악산 케이블카가 가평군수 보선의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케이블카 문제는 이미 설악산과 지리산 등에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중인데 가평에서도 뜨거운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상대 후보 측의 여론조사이긴 하지만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므로 찬성’한다는 의견이 43.6%, ‘자연환경을 훼손하므로 반대’라는 의견은 46.7%(무응답은 9.7%)로서 반대의견이 3.1%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차범위에 불과한 것이므로 지역 유권자의 찬반 의견은 팽팽하다고 봐야 할 것이다.
케이블카 설치 공약 후보는 등산객이 많이 다니는 곳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면 오히려 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될 것이며, 가평의 관광이 뜨고 운악산 주변 음식문화거리가 다시 활력을 찾아 지역경제가 활성화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에 대해 상대후보는 케이블카 설치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처럼 운악산에 엄청난 재앙이 될 것이라며 케이블카 대신 힐링문화타운을 건설해 가평의 최대 장점인 청정자연을 이용한 가평발전 비전을 제시했다. 우리는 후보들 모두 지역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운악산 케이블카 문제 공방을 벌인다고 믿는다.
선거철이 되면 모든 후보자들은 ‘지역발전’을 공약의 맨 앞에 내건다. 그 공약의 주된 내용은 개발이나 건설이다. 그러나 개발이나 건설사업만이 능사일까? 아시아 최고 축제로 자리 잡은 가평 자라섬 재즈페스티벌이나 씽씽겨울축제에 온 사람들은 무엇을 보고 갔을까?
그들은 가평의 아름다운 자연과 청정한 환경에 반했다. 일부 지자체처럼 자연환경을 파헤쳐버린다면 가평을 찾을 이유가 없다. 케이블카 설치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환경영향평가와 타당성 연구용역이 선행됐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