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경제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강점활용-약점보완’ 정책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내놓은 ‘경기지역 경제의 문제점과 과제’에 따르면 경기지역 경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제조업과 서비스업 발전 지체 ▲1인당 소득 수준 전국 평균 하회 ▲고용창출력 둔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2011년 말 기준 도내 제조업체 및 종사자 수는 각각 2만2천개, 81만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2000~2011년 연평균 업체당 출하액 및 종사자 수 증가율은 각각 5.2%, -1.0%로 전국평균(8.1%, -0.6%)을 크게 밑돈다. 도내 제조업체의 성장 및 생산성 향상이 타 지역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한은 경기본부는 2000년대 중반이후 수도권 규제, 부동산가격 급등 등으로 도내 제조업체의 공장용 토지와 건물 확장이 어려워진데다 교통통신망 발달로 충청지역 등의 영업환경이 상대적으로 개선된 점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또 경기지역 서비스업은 전통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영세업체의 비중이 높아 과당경쟁으로 인한 폐업과 창업이 빈번하고 생산성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발전이 지체되면서 경기지역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도 2011년 기준 2천62만원으로 대경권(대구, 경북)과 함께 전국 평균(2천497만원)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취업자 수도 2006~2007년 17~18만명에서 지난해 9만명으로 감소하는 등 크게 낮아지는 추세다.
한은 경기본부는 경기지역이 이러한 문제점도 존재하지만 ▲전국 최대 인구수 및 높은 인구증가율, 젊고 고학력인 인구구조 등 양질의 인적자원 ▲수도권, 중국·동남아 등 국내외 거대시장 인접 ▲ 다수의 산업단지, 양질의 교통·통신망 등 견실한 산업기반 구비 등 장점을 활용한다면 충분히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성환 한은 경기본부 경제조사팀장은 “지식기반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육성, 중소기업 창업 및 성장지원 체계 확충, 중국·동남아 경제와의 연계성 강화, 경기도 기술혁신시스템 구축, 수도권 및 인근 지자체와의 협력 강화 등의 정책 추진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