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Money Q&A]3년차 회사원 재테크 상담

결혼자금 선순위… 펀드보다 적금 위주로
변액연금, 월 30만원 납입 월 93만원 수령
실비, 보장성보험 중 필수적인 유일 상품
병원비·큰 병까지 보장… 추가 가입 不要

Q. 저축은 은행 정기적금만… 보완할 점은?

안녕하세요, 3년차 회사원입니다.현재 적금만 하고 있는데, 부족한 점이 있는 것 같아 조언을 구합니다. 한달 수입은 210만원 정도이고, 이 중 160만원을 저축하고 있습니다.저의 재무상황을 다음과 같습니다.

<수입>

- 210만원

<월 지출>

- 실비보험 7만원

- 적금⑴ 50만원

- 적금⑵ 100만원

- 청약저축 10만원

- 생활비(통신료, 교통비, 경조사, 식비 등) 43만원

월급과 적금 통장은 K은행에서, 생활비 통장(카드)는 H은행에서 사용합니다.

상담 부탁드립니다.

A. 영국의 사회초년생들은 사회생활 시작과 동시에 개인연금을 첫번째로 가입한다고 합니다.

이미 그러한 문화가 정착된 지 오래고 일찍히 고령화사회에 접어든 선진국에서는 연금의 중요성을 자산관리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거론합니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 가운데 평균수명증가율이 가장 빠르고 전 세계에서 고령화진입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어떠한 나라보다 노후에 대한 대비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의 미혼자들은 재테크방향을 설정할 때 결혼자금을 우선순위로 두되, 일부자금으로 노후를 대비한 개인연금을 가입하는 것도 꼭 함께 실천돼야 합니다.

제안드리는 포트폴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활자금은 소득의 30% 이하, 저축자금은 60% 이상, 보장성보험은 10% 이하가 적합합니다. 매우 정확한 비율에 맞춰 현재 자금관리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더구나 저축자금은 적정비율보다 훨씬 높습니다.

결혼자금도 적금이 가장 적합한 금융상품입니다. 원금손해 없이 언제든지 자금을 찾아쓸 수 있는 적금은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통해 단기자금을 마련하는데 가장 적합한 상품이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펀드는 단기적으로는 손해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청약도 가입해놓고 있습니다. 청약은 훗날 새아파트분양을 대비해 꼭 필요한 통장이므로 꼭 가입할 필요가 있으며, 오래 납입할 수록 당첨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꾸준히 납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비보험도 매우 잘 가입했습니다. 보장성보험 중 유일하게 필수보험이 실비보험이며, 실비보험은 실제 발생한 병원치료비를 보장해주고 암과 같은 큰질병이 발생하면 고액의 보험금을 지급해 투병기간동안에 필요한 생활비를 보상받을 수 있어 매우 잘 가입한 상품이라 볼 수 있습니다. 금액도 현재 연령에서 월 7만원이면 매우 적합한 금액이며 추가적인 보험가입이 필요치 않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처음에 말씀드렸듯 적금위주로만 저축이 진행되는 것은 노후에 대한 대비가 전혀 준비돼 있지 않은 것이 문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저축자금 중 20%에 해당하는 월 30만원으로 노후대비를 위한 변액연금에 가입할 것을 제안합니다.

프랑스에서는 변액연금이 전체 개인연금가입자 중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의 국민연금에 해당하는 상품입니다. 장기펀드투자를 통해 수익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고 비과세혜택으로 세금을 면제받으며 종신연금으로 부부모두 평생 사망하는 순간까지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시중에 나와 있는 다양한 변액연금 중에서도 아무 상품이나 선택할 것이 아니라 타사상품 대비 장기수익성도 좋고 환급금도 높으며 연금수령 전까지 발생된 수익금 가운데 가장 높았던 수익금으로 연금지급을 보장해주는 상품으로 가입한다면 그 어떠한 상품보다 많은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월 30만원씩 10년간 납입 후 20년 뒤인 60세부터 연금을 지급받는다면 매월 93만원의 연금을 평생동안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지난 10년 간 변액연금에서 발생된 연평균수익 9%수익 가정시)

이와 같이 준비할 것을 제안하며 적금은 시중은행보다는 가까운 신협이나 새마을금고가 시중은행보다 높은 이율에 비과세혜택까지 더해 많은 이자를 제공하므로 이들 은행을 적극 활용하고 매월 급여는 시중은행에서 판매하는 급여통장을 이용하면 입출금이 자유로운데다 연 2%의 이자적용에 이체수수료까지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제공 : 모네타(http://www.moneta.co.kr) → 재테크상담&교육 → 전문상담/간편상담 → 상담신청>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