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대선 패배의 후유증 속에 ‘과도기적 지도부’로 출범한 문희상 체제는 당을 수습하고 재기의 나래를 펼 수 있는 주춧돌을 놓는데 역점을 둬왔다.
문 비대위원장은 취임 당시 “대선평가위를 조속히 가동해 민주당의 잘못이 무엇인지 철저하게 찾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지만, 대선평가위가 내놓은 대선평가보고서를 통해 그 취지와 의도를 제대로 살려내지 못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되레 대선패배의 책임론을 둘러싼 공정성과 객관성 공방만 벌였다.
특히 친노·주류 진영이 강력 반발하면서 뿌리깊은 당내 계파간 갈등의 골만 확인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정치혁신위원회와 전당대회준비위원회도 정치혁신안을 내놓고, 당헌·당규를 개정하며 재도약에 나섰지만 기대 만큼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계파간 갈등에 파묻혔다.
무엇보다 계파갈등의 뿌리를 뽑겠다는 비대위의 약속은 사실상 공염불이 되면서 여당의 독주를 막는 건전한 견제세력의 역할도 ‘절반의 성공’에 머물렀다.
하지만 문희상체제는 과거와 달리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한다는 야당의 부정적 이미지를 상당히 탈색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잇따른 도발 위협, 개성공단 폐쇄위기 국면에서 초당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데다 지난달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초청에 응해 두 차례나 당 지도부와 소속 의원들이 청와대에서 만찬회동을 하며 할 말은 하되 협조할 것은 협조하는 ‘유연한 야당’의 모습을 보여줬다.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의 입법과정에서도 여당에 끌려가지 않고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고 입법을 관철시킴으로써 ‘대안 정당’의 면모를 어느 정도 보여주는 성과도 남겼다.
다만 문희상체제의 성적표는 4·24 재보선 결과로 이어져 당의 재정비보다 지리멸렬한 현주소를 극명하게 드러냈다. 또한 ‘불임정당’, ‘들러리정당’이라는 위기감이 당내에 팽배한 가운데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당선으로 또다시 ‘안풍’의 영향권에 접어들면서 야권의 주도권을 놓고 다투게 됐다는 평가를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