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농업칼럼]제2 한국을 꿈꾸는 아세안 국가들

 

우리나라는 불과 20여년 전까지만 해도 선진국들에게 원조를 받던 개발도상국 중 하나에 속했다. 그러나 원조를 받아 경제성장을 시작한 이후 불과 몇 년이 지나지 않아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선진 원조 공여국으로 발돋움한 세계 최초의 나라이다. 2000년 UN총회에서는 189개국 동의하에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ium Development Goals)를 채택하고 2015년까지 빈곤층을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목표를 정하였다. 그에 맞춰 우리나라도 원조 규모를 2015년까지 국민소득 대비 0.25%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의 주된 목적은 그들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전쟁, 기근, 자연재해 등의 사유로 인하여 세계인구 7분의 1에 해당하는 8억5천만명의 사람들이 여전히 하루 1달러 미만으로 생명을 연장하며 살고 있다. 빈곤과 기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빈곤과 질병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자립역량을 키우고, 각 국의 기후와 환경에 맞는 농업기술의 개발로 식량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 등이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도 1960년대에는 전년도에 수확한 쌀이 충분치 않아 이듬해 늦봄 보리가 생산되기 전 이미 식량이 바닥나 매우 곤궁했던 ‘보릿고개’가 있었다. 그 당시 우리가 개발한 벼 품종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여러 품종들을 개발해서 개량된 품종들을 재배했지만 생산성이 그다지 높지 않았고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소비량을 충족시킬 수가 없었다.

1971년 ‘통일벼’가 개발되었고, 1972년 통일벼의 보급으로 인해 평년보다 21.8% 증가한 쌀을 생산해 냄으로써 역사상 최초로 쌀의 자급자족을 달성하면서 우리 국민들이 먹는 문제를 해결하고 식량창고를 채우고도 남아도는 식량 덕분에 처음으로 인도네시아에 쌀 48만6천섬을 빌려주기도 했다. 식량부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국가재정에 도움이 되고, 통일벼의 단점을 보완한 신품종 개발도 끊임없이 이루어짐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처럼 한국의 성장전략이 개발도상국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면서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해졌다. 농촌진흥청은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국가 유전자원관리 전문가 양성을 위한 ‘아세안 유전자원관리 훈련’이 실행되었다. 유전자원관리 훈련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하 국제생물다양성연구소가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를 ‘국제유전자원 협력훈련센터’로 지정하면서 시작하게 되어 2009년부터 아세안 회원국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009년 12개국 16명, 2010년 8개국 19명, 2011년 7개국 12명, 2012년 8개국 22명 등 총 69명이 교육을 받고 자국으로 돌아가 유전자원관리 전문가로 활발하게 활약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개도국과 농업기술협력을 통한 국격 제고와 해외 진출 기반조성을 위하여 KOPIA, AFACI, KAFACI 등 국제협력을 통하여 현지적응 검증이 완료된 기술은 시범단지를 조성하여 전수하고 있으며, 국제미작연구소와 공동연구를 추진하여 열대지방 적응 온대벼 품종 개발 등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가 어려운 시절을 보낼 때 선진국들의 도움과 신품종 개발이 아니었다면 지금처럼 풍요로운 삶은 생각지도 못했을 것이다. 예전의 우리나라처럼 선진국으로부터 원조를 받는 국가의 젊은 인재들이 유전자원관리 전문가 교육을 받아서 기존 육종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자국의 기후와 환경에 맞는 신품종 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신품종 개발을 함으로써 고질적인 빈곤과 기아 문제에 대해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고, 경제발전에 이바지하여가 국가 간 상호 협력 개발하는 밀접한 방식으로 농업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아시아의 리더국가로 발돋움하여 더욱 발전하는 농경문화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