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눈에 띄는 두개의 뉴스가 있었다. 하나는 경기도의료원이 29일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기아대책)와 의료인 교육, 긴급구호·의료봉사활동, 긴급의료지원 등에 관한 보건의료지원 협약을 체결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또 하나는 경상남도가 29일 도립경남 진주의료원 폐업을 발표함으로써 103년 역사의 진주의료원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는 우울한 소식이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나 홍준표 경남도지사 모두 새누리당 소속인데도 공공의료에 대한 생각이 이처럼 다르다. 지난해 12월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홍준표 도지사는 지난 2월 26일 만성적자와 부채 누적을 이유로 진주의료원 폐업 방침을 전격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노조와 야권 도의원들이 강력히 반대하고 심지어는 정부와 국회까지 나서서 만류했다. 그러나 누구도 홍 지사의 ‘소신’을 꺾지는 못했다. 이에 따라 100년 넘게 경남도민과 애환을 함께하며 공공의료의 산실로 자리 잡았던 도립경남 진주의료원은 이제 경남도의회가 진주의료원 법인 자체를 해산하는 조례안을 다음 달에 가결하면 영원히 사라지게 된다. 그것도 번듯한 새 건물과 첨단 장비들을 갖추고 새로 출발한 지 5년 만에. 공공의료를 무조건 자본주의 논리로 몰아가려는 일부 인사들의 인식에 가슴이 답답해진다.
반면 김문수 지사는 도립경남 진주의료원 폐업 논란이 일자 ‘1%의 필요한 사람이 있다면 경기도립병원을 유지하겠다. 어려운 사람들 고치는 역할도 하지 않나’고 말한바 있다. 이 말이 정답이다. 지방의료원은 전체 공공의료의 틀에서 접근하고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방의료원은 돈 없는 서민과 극빈자들의 생명을 챙기는 마지막 보루이기 때문이다. 김문수 지사와 경기도의료원이 박수 받을 일이 또 있다. 경기도의료원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기아대책)와 보건의료지원 협약을 체결한 것이다.
경기도의료원에 따르면 앞으로 기아대책, 수혜국 현지 의료인의 한국 내 교육 및 실습을 지원, 재난 발생 시 긴급구호 참여와 의약품 지원 등을 해주기로 했다. 아울러 의료봉사단을 공동파견하고 긴급의료(수술 및 재활치료) 지원 등 다양한 의료봉사활동을 함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국내 의료사각지역에 있는 국민을 대상으로 의료지원 활동을 함께 펼칠 계획이라고 한다. 이것이 공공의료기관의 바람직한 자세다. 경기도의료원의 보건의료지원 협약 체결을 적극적으로 성원한다. 그리고 비록 경기도의 일은 아니라지만, 도립 경남 진주의료원이 서민들의 위한 진료를 계속하게 되길 우리는 진심으로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