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500억원대의 빚더미에 올라앉은 용인도시공사가 성과급 타령을 하고 있다니 어안이 벙벙할 따름이다. 도대체 시민들을 뭘로 보는 것인지 분노마저 치민다. 10일 본보 보도에 따르면 용인시는 추경예산 중 용인도시공사 출연금으로 20억원을 편성, 이번 임시회에 상정했다고 한다. 내역은 시가 도시공사에 위탁해 진행 중인 각종 시설운영비 명목이다. 하지만 여기에 공사 사장을 포함한 임직원 162명의 에게 성과급을 준다며 4억8천900만원을 포함시켰다고 한다. 1인당 평균 300만원이 넘는 금액이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빚을 감당하기도 버거운 판에 자신들의 잇속부터 챙기려는 속셈을 보인 것이다. 기가 찰 노릇이 아닐 수 없다.
공기업들은 민간기업과 달리 경영실적을 감안해 급여의 일부를 성과급 명목으로 차등 지급하는 것은 맞다. 하지만 용인도시공사는 이와는 거리가 멀다. 경전철 건설로 엄청난 빚더미에 오른 가운데 시가 662억원을 출자해 설립한 용인도시공사의 지난해 기준 부채총액은 5천544억원이다. 전년도 2천100억원에 비해 배 이상 늘었다. 역북지구 토지보상비로 지난해 1천900억원 규모의 CP(기업어음)를 발행한 데다 부동산개발업체로부터 개발사업비로 1천808억원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년 내에 갚아야 할 단기 유동부채는 전체의 94%인 5천207억원에 달하고,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은 301%에서 498%로 높아졌다. 반면 영업이익은 2011년 120억5천만원에서 지난해 20억2천만원으로, 당기순이익은 103억8천만원에서 13억1천만원으로 급감했다. 더구나 역북지구에 아파트를 건설하겠다며 지구 내 토지를 토지리턴제 방식으로 사들인 부동산개발업체가 마땅한 시공사를 찾지 못하자 리턴권을 행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확정될 경우 지난해 택지 매각대금으로 받은 1천808억원에 금융이자 40억원까지 보태 되돌려줘야 할 처지다.
이처럼 공사의 경영이 오죽 부실했으면 안전행정부가 최근 경영평가를 통해 각종 개발 사업을 조속히 정리하고 시설관리공단화할 것을 촉구하는, 파산선고나 다름없는 개선명령을 내렸겠는가. 그런데도 성과급 타령을 하고 있으니 과연 그들에게 양심이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천문학적 부채를 안고 있는 도시공사의 성과급 잔치를 시민들은 납득하지 못한다. 경영 상태가 나쁜데 임직원들이 성과급을 챙겨 재정이 더 나빠지면 결국 세금으로 메워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경영은 엉망이면서도 제 식구에게 혈세를 펑펑 쓰려는 공기업의 탈선은 확실히 바로잡아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