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햇빛발전소’ 등 원전 대안 필요한 시점

사상 최악의 전력난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전력수급대책의 일환으로 전 공공기관에 7~8월 전력사용량을 전년 대비 15% 감축하고, 계약전력 100㎾ 이상 공공기관은 피크시간대(오후 2~5시) 전력사용을 20% 감축하도록 했다. 그런데 지난 5월 말 본란을 통해서도 주장했지만 언제까지 혹서기와 혹한기에 ‘절전’이라는, 정부의 전가보도(傳家寶刀)와 같은 대책을 접해야하는지 짜증이 난다. 전기를 아껴 쓰자는 데, 에너지를 낭비하자는 데 토를 달 사람은 없다. 그런데 전기는 이제 인간생활에 반드시 필요하다. 필요한 곳에서는 사용돼야 한다. 특히 요즘처럼 연일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는데 ‘절전’만 강요할 일이 아니다.

물론 지금은 전력 비상상황이다. 원자력발전소의 가동 중단사태로 인해 전력공급 수급 비상상황이 발령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당장 6월부터 비상상황인데 벌써 지난 5일 전력수급경보 ‘관심’ 단계가 올해 처음으로 발령된 바 있다. 올 여름 전력난이 현실화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오는 7월과 8월에는 매우 심각한 사태가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원전 23기 중 원전 10기가 가동을 중단한 상태로서 이로 인해 전체 전력공급량의 10%가 사라졌다. 당연히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릴 수밖에 없다.

본보(10일자 23면)에 의하면 벌써부터 도내 관공서 공직자들의 걱정이 크다고 한다. 왜냐하면 지난해 26도 이상이었던 실내온도를 28도 이상으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민간 건물도 26도로 제한된다. 28도면 바깥 온도나 별 차이가 없다. 게다가 수원시 등 많은 관공서의 경우 한 사무실에 많은 인원이 밀집돼 근무하므로 체온과 컴퓨터 등에서 나오는 열기로 실제 온도는 그 이상이 된다. 이래서야 효율적인 업무를 할 수 없을 뿐더러 민원서비스까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민원인들도 짜증을 내게 되고 이래저래 힘든 상황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

공직자들은 국가적 전력 비상상황을 맞아 정부의 방침에 적극 동참하고, 누구보다도 앞장서 절전을 생활화 하는 사람들이다. 그렇지만 적정수준의 냉방온도는 필요하다. 특히 민원인이 많이 찾는 부서는 더욱 그렇다. 이 시점에서 공공기관에 대한 무조건적 절전방침보다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지난 5월 21일 전국 최초로 안산시가 건립한 ‘주민 주도형 햇빛발전소’ 등이 그 대안이다. 서울시의 ‘원전 하나 줄이기’도 좋은 정책이다. 전력 자급률을 현재의 2.8%에서 2014년 8%, 2020년 20%까지 높이겠다고 한다. 이제 화석연료와 원전 의존도를 낮추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해야 한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