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1977년 3월 27일 일요일 오후 스페인령 카타리나제도 테네리페섬 산타크로스의 로스 로데오스 공항에서는 항공 역사상 가장 많은 583명의 사상자를 낸 최악의 항공 사고가 발생한다. 이륙하던 네덜란드 KLM 소속 보잉747기와 이륙 준비 중이던 미국 팬암 소속 같은 기종의 항공기가 충돌한 것이다.

사건의 전말은 이랬다. 두 여객기의 당초 착륙예정지는 카타리나제도의 그랜드 카나리섬 라스팔마스 공항이었다. 하지만 그곳에서 폭탄테러가 일어나자 사고가 난 로스 로데오스 공항으로 착륙이 변경되었고, 거기서 두 항공기는 대기 중이었다.

로스 로데오스 공항은 747기가 운항되지 않는 매우 작은 공항이다. 때문에 공항은 테러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착륙을 시킨 비행기들로 넘쳐났다. 원래 비행기를 대는 ‘주기장’ 외에도 항공기가 활주로로 가기 위해 지나다니는 길목 ‘택싱웨이’와 활주로로 진입하는 ‘유도로’에까지 갖가지 비행기를 주기시켰다고 한다. 그러던 중 얼마 안 있어 라스팔마스 공항이 정상 운영됐다. 대기 중인 다른 비행기들은 관제탑의 지시대로 속속 공항을 빠져나갔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KLM 소속 항공기는 그 시간 급유 중이었고, 팬암기는 그 항공기에 막혀 이륙이 지연되는 상황을 맞는다. 급유가 끝나자 서로 급한 두 항공기가 활주로에 진입했고, 대기하라는 관제탑의 지시를 무시한 채 KLM 소속 항공기가 이륙을 시도하다 역시 관제탑의 지시를 무시한 채 유도로로 진입하던 팬암 항공기와 충돌한 것이다. 이 사고로 양측 항공기 탑승객 583명이 사망하고 61명만이 살아남았다. 서두른 이륙 및 급유, 관제사와 항공기 기장들과의 교감부족 등이 사상 최대의 항공 참사를 불러온 것이다.

이처럼 활주로의 이착륙 사고는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지기 일쑤다. 그리고 대부분 악천후나 조종사의 실수 등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되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어제(7일) 아시아나항공기가 미국 샌프란시스코공항에서 착륙 중 사고가 발생했다. 탑승객 307명 중 2명이 사망하고 180여명이 다쳤다고 한다. 중상자가 많긴 하지만 얼마나 다행인가. 지금까지 사고원인에 대해 밝혀진 것이 없다. 조종사의 실수인지 아니면 기체 결함인지, 철저한 조사와 원인규명이 사고 재발을 막는 지름길이다.

정준성 논설실장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