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60년을 앞두고 오는 17일 DMZ 및 서해 접경지역의 평화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강원·경기·인천네트워크가 출범한다.
14일 인천시에 따르면 강원·경기·인천 네트워크는 정전 60년만에 처음으로 조직된 DMZ와 한강하구, 서해 5도가 속한 지역의 민간 중심으로 구성됐다.
현재는 강원·경기·인천지역의 의제21(Local Agenda21) 추진기구 주축으로 시민사회단체, 지역주민조직이 참여하고 녹색환경지원센터 등 각 지역 연구기관 및 전문가 등이 참여하고 있다.
남북한 경계인 DMZ지역과 한강하구, 서해5도 지역은 그동안 정치, 군사적 상황으로 남북한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이들 지역의 주민들은 언제나 불안에 떨어야 했다.
또한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각종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며 위험지역이라는 부정적인 지역 이미지는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키도 했다.
그럼에도 정부와 각 부처, 지방자치단체는 각종 정책과 제도들을 따로 입안하거나 지역의 시민사회단체들도 평화·생태 활동들 역시 관과 군의 행정과는 별개로 진행해왔다.
이에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대표적인 각 광역별 민·관 협력기구가 중심이 돼 지난해말부터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해 왔다.
아울러 DMZ지역과 한강하구, 서해5도 지역의 주민 주도형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의제로 채택하고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고자 강원·경기·인천 네트워크를 결성했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평화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DMZ·서해 접경지역 7대 의제’를 발표하고 역사회의 참여를 통해 실천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우리나라 지방의제21은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각 지자체별로 조직돼 현재는 16개 광역시도를 비롯, 228개 기초지자체에 조직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