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6일 경색된 정국을 풀기 위해 민생 현안이 의제로 포함된 여야 대표 회담의 수용 의사를 밝혔지만, 민주당은 박 대통령과 김한길 대표가 만나 국정원 개혁과 민생문제를 함께 논하자고 역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국민이 간절하게 원하는 민생안정을 위해 정부와 정치권이 존재하는 것”이라면서 “민생 회담과 관련해서는 언제든지 여야 지도부와 만나서 논의할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다음달 4일 해외순방을 떠나기 앞서 정국 정상화의 물꼬를 트려고 결단을 내린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번에는 의제만 야당측과 협의된다면 여야 대표간 3자회담이든, 여기에 원내대표까지 참여하는 5자회담이든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열릴 가능성이 있다.
새누리당도 회담 의제를 논의하기 위해 청와대는 물론 야당과도 부단히 물밑 교섭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국가정보원 댓글 국정조사가 끝난 23일 이후 어떤 형식으로든 박 대통령이 야당 대표와 만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 높았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날 박근혜 대통령이 민생과 연결된 사실상의 여야 5자 회담 개최를 제안한 데 대해 박 대통령와 김한길 대표가 만나 국정원 개혁과 민생문제를 함께 논하자고 양자회담을 역제안했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민주주의 없는 민생은 사상누각”이라며 “국정원 불법 대선개입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국정원 개혁과 관련한 태도 표명 없이 민생만 논하자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비켜간 것”이라고말했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만나 민주주의 회복과 국정원 개혁을 논하는 자리에서 민생에 관한 의제도 충분히 논의될 수 있다”며 박 대통령과 김 대표간 양자회담에서 민주당이 주장하는 민주주의 회복과 국정원 개혁 문제와 청와대가 내세우는 민생문제를 함께 논의할 것을 주장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박 대통령이 “대선에서 국정원으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다”고 한데 대해서는 “국기문란 범죄에 대통령이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고 믿고 싶다”면서 “그러나 대선 당시 박 후보 캠프가 개입됐다는 의혹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