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교통 수원총회 1차 전체회의가 2일 오전 행궁광장 국제회의장에서 염태영 수원시장, 메리제인 오르테카 ICLEI(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 부회장, 모니카 짐머만 ‘생태교통 수원2013’ 페스티벌 발기인 겸 총책임, 참가국 도시 대표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수원총회 개회식을 겸한 이날 전체회의에서 염태영 수원시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20∼30년 후 화석연료가 고갈될 것이라는 불편한 진실을 인정하고 실천으로 옮겨야 할 때가 됐다”며 생태교통의 시급성을 역설했다.
염 시장은 “온실가스 80%가 전 세계 도시에서 배출되고 있다”며 “수원시는 하천을 복개해 주차장으로 사용하겠다는 자동차 중심 교통정책을 시민의 힘으로 저지한 시민운동의 역사와 저력이 있어 생태교통 수원2013 추진의 배경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수원시가 어렵고 힘든 길에 먼저 이유있는 도전으로 나서 도시를 바꿔보겠다”며 지원을 당부했다.
이어 캐나다 토론토 길 페날로사 도시자문위원은 ‘8세부터 80세까지 살기 좋은 도시(8-80 Cities)’ 캠페인의 주제인 비동력 교통의 이점에 대해, 하이너 몬하임 독일 트리어대학교 교수는 생태교통 운동과 NGO의 연계 활동에 대해 각각 강연했다.
전체회의를 마친 참석자들은 국제회의장, 선경도서관, 행궁동주민센터 등으로 자리를 옮겨 도시재생과 생태교통의 역할, 생태교통 활성화를 위한 공공 인프라의 역할, 생태교통 마케팅, 교통수요관리 등 주제별 분과회의를 진행했다.
분과회의에서는 나우린 카비르 프랑스 뉴시티재단 도시연구소 소장, 마틴 하그 독일 프라이부르크시 부시장, 로버트 스튜시 포르투갈 퍼폼에너지 대표 등이 좌장을 맡고 하야토 시미즈 일본 사이타마시 시장, 멘프레드 늄 유럽자전거연맹 대표, 최기주 아주대 교수 등이 발제를 맡았다.
생태교통 수원총회에는 기후변화와 온실가스배출저감에 공감하는 전세계 41개국 98개 도시대표들이 참가하고 있다.
수원총회는 3일 2차 전체회의와 분과회의에 이어 4일 전체회의에서 도시별 여건을 감안한 미래형 교통계획 수립 과정의 아이디어와 미래 도시 생태교통 모델을 공유하며 폐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