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4월 안양시의회 민주당의원들은 보도자료를 내고 자당 시의원의 탈당을 촉구한 바 있다. 하연호·홍춘희·김성수 시의원 등은 “권주홍 의원의 잇따른 폭언 등으로 지역사회에 물의를 빚는 등 당 정체성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행보를 계속하고 있다”면서 “권 의원의 이 같은 행동으로 동료 의원과 공직자, 시민들로부터 불신을 초래해 민주당 당원으로 함께 할 수 없으니 당을 떠나라”고 권 의원을 압박한 것이다. 특히 당시 보도에 따르면 하연호 의원은 ‘공인으로서 위계질서 무시, 공무원 폄하발언, 당 공식행사 회의진행 방해’ 등을 이유로 “고육지책으로 동료를 포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참, 세상은 재미있다. 이번에는 그 하연호 시의원이 안양지역 시민사회의 표적이 되고 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안양시지부와 안양참시민희망연대 등은 하 전 대표의원이 ‘시민을 기망하고 직위를 이용해 불법과 부조리를 일삼고 있다’며 지난 4월 민주당에 하 전 대표의원의 징계를 요구한 바 있다. 안양시의회도 하 전 대표의원을 윤리위원회에 회부했다. 그러나 지난 9일 열린 시의회 윤리위원회는 의원의 징계 제명안을 부결시켰다.
이에 안양지역 사회단체들로 구성된 ‘불량시의원 퇴출을 위한 범시민대책위원회’ 소속 100여명은 “내년 지방선거 때 안양시의회에서 민주당이 단 한 석도 얻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강력히 반발했다. 이들이 하 의원의 퇴출을 주장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시민 20여명과의 사기 사건에 연루돼 고소·고발을 당했으며 세금 체납, 재산변경 허위 신고, 동료의원 고소, 교통시설물 불법 설치 등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고 한다. 또 월평균 2천만원어치의 쇠고기를 파는 식당을 관할 관청에 신고하지 않고 운영하다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3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해지는 등 현행법과 윤리강령 위반 사례가 11건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게 사실이라면 ‘불량시의원’이란 소릴 들어도 할 말이 없을 것 같다. 이 정도면 스스로 의원직을 사퇴해야 마땅하다. 그런데 지방과 중앙을 막론하고 정치인들은 왜 권력에 대한 의지(!)가 이토록 쇠심줄처럼 질길까? 징계 제명안 부결 이후 “동료 의원들의 뜻을 존중하겠다”는 하 의원의 말을 듣는 순간, 그나마 남아 있던 연민의 감정마저 싹 사라진다. 이런 일이 자꾸 일어나면 지방의회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