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이번주초 국회 정상화를 놓고 중대한 갈림길에 놓일 것으로 예상된다.
양당은 외견상 추석 연휴를 통해 지역민심을 듣고 정국의 실타래를 풀려는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주초 민주당과 협상을 본격화해 국회 복귀를 압박할 태세이고, 민주당은 의원총회에서 향후 정국 대응에 대한 당론을 결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의 당론이 결정되는 23일 의원총회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민주당은 3자회담 결렬 후 격앙된 분위기 속에서 장외투쟁을 강화하자는 강경론이 힘을 얻는 흐름이다.
특히 민주당은 ‘야당의 독무대’로 여겨져 온 국정감사가 목전이지만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이는 현 정국을 강공으로 돌파하겠다는 기류 속에서 ‘국감 보이콧’ 주장으로까지 이어진다.
이로인해 ‘국감 거부’까지는 아니더라도 매년 9~10월 진행되던 국감이 올해 11월로 밀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의 강경한 태도가 누그러지지 않아 10월30일 재·보궐선거 이후까지 현재와 같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진다면 국감이 11월로 넘어가는 게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1990년 11월 26일부터 12월3일까지 ‘11월 국감’은 한차례 있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이번주초 민주당 강경파보다는 ‘국회복귀’ 주장이 상대적으로 많은 민주당 원내지도부를 상대로 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다.
민주당내에서도 현재까지 정기국회 자체를 보이콧하기는 어렵다는 데 많은 의원이 공감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에 따라 늦어도 이달말까지는 민주당 원내지도부를 상대로 교섭단체 대표연설, 국정감사 등 주요정기국회 일정을 잡으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내주 교섭단체 대표연설, 국정감사, 대정부질문, 결산·예산 심사 등 주요 일정을 민주당과 일괄타결하겠다는 입장이나, 민주당은 각 일정을 개별적으로 협상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