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학생들이 인권을 침해당했다며 도교육청 학생인권옹호관과 상담한 내용 중에 가장 많은 것은 각종 폭력 피해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2011년 5월 임명된 도내 3명의 인권옹호관이 올 7월말까지 상담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체 상담건수 2천901건 가운데 45.4%인 1천316건이 각종 폭력 관련 내용이었다.
폭력 내용은 체벌 13.8%, 언어적 폭력 12.7%, 학교폭력 12.4%, 따돌림이 4.1%, 성추행·성희롱·성폭력 2.4%였다.
또 부당징계 관련 상담이 21.6%, 복장·두발과 사생활 비밀 침해(휴대전화 소지)가 10.2%, 차별이 4.8% 순이었다.
가해자는 교사가 61.9%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보호자와 비학생 등 기타가 22.4%, 학생이 15.7%였다.
학교급별 상담 건수는 초등학교가 19.6%, 중학교 32.2%, 고교 42.7%, 기타 5.3%로 나타났다.
상담을 의뢰한 사람은 보호자가 45.5%로 가장 많았고 학생 25.6%, 교사 22.4%, 기타 6.6%로 집계됐다.
인권옹호관들은 상담 내용 가운데 698건을 조사해 610건을 구제했다.
구제 내용은 인권침해 및 차별행위 중지가 25.6%, 재발방지 대책 마련이 32.6%, 인권교육 수강 및 징계요구가 9.7%, 합의조정 등 현장해결이 31.1%였다.
김형욱 도교육청 대표인권옹호관은 “학생·학부모 뿐만 아니라 교사들과 소통하는 기회를 꾸준히 갖고 학생과 교원의 인권이 조화롭게 상생하는 학교가 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