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공무원도 안 지키는 승용차 요일제

경기도가 ‘세계 차 없는 날(매년 9월 22일)’을 맞아 30일부터 10월6일까지 ‘승용차 없는 주간’으로 선정해 도내 각 지자체와 녹색 캠페인을 전개한다는 소식이다. 즉 일주일간 승용차 없는 주간으로 정하고 도내 공무원을 대상으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뭐, 내용은 언제나 어디서나 똑같다. ‘가까운 거리는 걷거나 자전거를 탑시다’ ‘자가용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합시다’라는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도청 공무원조차 승용차를 끌고 와 관공서 근처에 주차시키고 출근한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 시점에서 생각나는 행사가 있다. 지난 9월30일 끝난 ‘생태교통 수원2013’ 행사다. ‘미친 짓’ ‘정신 나간 시장과 공무원’이란 극언까지 들어가며 시작한 이 행사는 기적과도 같았다. 세상에 하루도 아니고 한달씩이나 마을에서 자동차를 모두 빼내겠다는 발상을 한 사람이나, 그런 제안을 받아들인 주민들. 물론 처음엔 극심한 반발이 있었지만 결국 대부분이 취지를 이해해 동참했다. 이 시대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 가는 사람들이다. 많은 국가와 지자체에서 이 행사를 벤치마킹해 갔다. 그러나 실천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행궁동 사람들이 위대하다. 지난 10월1일 행궁동 화서문로에서 열린 ‘쫑파티’에서는 염태영 시장을 비롯한 많은 이들이 눈시울을 붉혔다. 불가능한 일을 해낸 성취감과 그 동안의 아픔 때문이었으리라. 주민들 간에 ‘다시 차 없는 마을을 만들겠다’는 참으로 간절히 원했던 소식이 들린다. 기대가 된다. 그리고 때맞춰 실시하는 경기도의 ‘차 없는 주간’을 지켜본다. 여주는 도자기축제 중 자전거 퍼레이드 등을 진행하고 다른 시·군들은 녹색교통주간, 녹색출근길 등 캠페인을 벌일 예정이란다.

그런데 캠페인만으로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 서울시는 2003년 7월부터 준 자율적 승용차 요일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경기도, 대구광역시도 동참하고 있지만 성과는 알 수가 없다. 본보(9월30일자 1면)에 따르면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는 도내 31개 시·군의 공무원 소유 차량이 절반에 불과했고 성남, 화성, 안성, 이천 등 6개 지자체는 참여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한다. 특히 안성시의 경우 662대의 대상 차량 중 1대 만이 승용차 요일제에 가입해 참여율이 0.2%에 불과했단다. 공무원들, 수원시 행궁동 주민들에게 부끄러운 줄 알라!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