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이영숙칼럼]행복을 원하는 현대인들의 심리

 

모든 사람은 누구나 행복한 삶을 원한다. 행복한 삶, 더 나은 삶을 원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지금의 문명발달과 산업발달을 가져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면 다른 어떤 시대보다 고도의 문명과 산업의 발달을 이룬 현대인들은 과연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가? 현대경제연구원이 2012년 7월에 발표한 ‘제10회 대한민국 경제적 행복지수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국민 대부분이 경제적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을 갈망하는 현대인들의 바람이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가 점점 늘어나는 자살률과 우울증, 급증하는 이혼율과 고독 같은 현상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행복이란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함, 또는 그러한 상태’(표준국어대사전, 2013)이다. 교육학 사전에서는 행복을 ‘심리적으로 혹은 신체적으로, 또는 심신의 양면에 걸쳐 욕구가 충족된 상태’로 정의한다(교육학용어사전, 1995). 행복은 사람의 심리적, 신체적으로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상태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심리적, 신체적인 욕구 모두 충족되는 상태가 과연 가능한 일인가? 마틴 셀리그만(Martin E.P.Seligman)은 “왜 모든 문화권에서 구매력이 늘어나고 전쟁에 의한 사망률도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행복지수는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 것일까?”라는 의문을 처음으로 가졌다. 그리고 이런 과학자들의 질문은 행복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만들게 됐고, 긍정심리학이라는 새로운 심리학으로 발전시켰다.

어떤 사람들이 행복할까? 긍정심리학의 연구 결과, 어떤 유형의 사람들이 행복한지를 과학적으로 밝혔다. 지난 10여 년간 행복과 관련이 있는 성격요인을 연구한 결과, 외향성, 자존감, 개인적 통제감, 자기효능감, 낙관주의를 지닌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행복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Diener, 1995; Myers, 1992).

또한 미국 하버드 의대의 베일러트 교수 팀이 전도유망한 하버드 2학년 학생 268명의 일생을 72년에 걸쳐 추적한 연구 결과, 행복한 성공을 이루는 데 필요한 7가지 요소는 고통에 적응하는 성숙한 자세, 교육, 안정적인 결혼, 금연, 금주, 운동, 적당한 체중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하버드 졸업생들 중에서 50대에 이르러 이들 7가지 중 5, 6가지를 갖추었던 사람들은 80세에도 행복하고 건강한 상태였고, 50세에 3가지 미만의 조건을 갖추었던 사람들은 80세에 행복하고 건강한 상태에 이른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고 밝혔다.

베일런트 교수의 연구 외에도 일반적인 행복의 조건은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 웃음을 잃지 않는 사람, 일과 여가·휴식의 조화를 이룬 사람, 사랑하는 관계를 가진 사람, 건강한 신앙이 있는 사람이 행복지수가 높다고 보고됐다.

행복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여 논리적으로 행복의 요소를 밝혀내는 것은 참 매력적인 것이다. 하지만 과학은 불변의 진리가 아니다. 하버드 대학의 조지 베일런트(George Vaillant) 교수는 “삶은 극적인 주파수를 발한다. 과학으로 판단하기에는 너무나 인간적이고, 숫자로 말하기엔 너무나 아름답다”고 고백하면서 삶의 오묘함을 강조했다. 인간의 삶은 인간의 생각으로 이해하기에 어렵고 과학적으로 증명하기에는 한계가 많다.

진정한 행복을 찾기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질되는 행복에 대한 과학적 연구보다 인간의 삶에 대한 본질과 행복에 대한 본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의 마음 상태를 좋은 생각·좋은 감정·좋은 행동으로 유지하고, 날마다 좋은 습관을 통해 삶 속에 행복의 요소들을 자발적으로 충족시키는 사람들이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개인의 삶을 바꾸기 전에는, 진정한 행복은 신기루처럼 멀어져 간다. 기쁨이란, 어떠한 상황이나 형편 속에서도 불평하지 않고 즐거운 마음을 유지하는 태도이다. 우리의 행복은 상황이나 환경적인 형편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삶의 위기와 문제 속에서 기쁨을 유지하는 우리의 태도에 달려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