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국정감사가 이번 주 종반전으로 접어들면서 국감 후 정국 주도권을 잡기 본격적인 힘겨루기가 최고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여야는 국감중인 오는 30일 실시되는 화성갑과 포항 남·울릉 2곳의 재·보선을 측면 지원하기 위한 치열한 공방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국감 후 주요 민생법안과 예산안 심의가 난항이 예상되면서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및 임명동의안 처리가 순탄치 않을 가능성이 크다.
새누리당 강경파들은 민주당이 임명동의안 일정에 응하지 않을 때는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에 따른 표결 처리로 통과시키자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국회가 정당한 이유 없이 임명동의안 심사를 마치지 않으면 국회의장이 바로 본회의에 부의할 수 있다”며 “야당이 끝까지 발목을 잡으면 국정 정상화를 위해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민주당 일각에선 국회 의사일정을 보이콧하고 장외투쟁에 힘을 더 실어야 한다는 강경 주장도 나오고 있는 가운데 지도부는 일단 ‘원내외 병행투쟁 강화’ 기조에 무게를 두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원내에서 고강도 투쟁을 통해 여권에 대한 비판과 견제라는 야당의 역할을 행동으로 보여주겠다는 입장으로 신임 감사원장과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현 정부 인사난맥상이나 기초연금 문제를 비롯한 복지공약 후퇴 등의 공세를 이어가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어 여야는 대검찰청과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등에 대한 종합감사가 예정된 오는 31일밤 늦게까지 공방을 끊이지 않고 개진할 것으로 점쳐진다.
법제사법위의 대검 감사에는 권력기관의 대선개입 의혹 수사,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미이관 배경 수사,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아들 의혹 및 사퇴 압력설 등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이슈들이 즐비하다.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 종합감사에서는 교과서 이념편향 공방이 불꽃을 튀길 전망이고, 기획재정부 종합감사에서는 경제민주화 입법, 세제개편, 부동산 대책 등이 쟁점이다.
고용노동부 국감에서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법외노조’ 조처를 놓고 양보 없는 설전이 펼쳐질 것으로 관측된다.
안전행정위 역시 경찰청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종합감사에서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을 둘러싼 여야 간 치열한 ‘불복 공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보건복지위의 보건복지부 국감은 기초연금 후퇴 논란이,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국감은 지난 이명박 정부의 역점사업인 ‘4대강 정비사업’의 대운하 전환 의혹이 최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