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구도심 활성화와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을 주제로 한 ‘관광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성곽주변의 한옥마을 특화 지원사업 추진하고 있지만 시의회가 지원금 인상 등을 이유로 관련 조례안을 부결시키면서 난관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전북 전주 한옥마을과 서울 북촌마을 등 지자체의 제도적 지원 속에 장기간에 걸쳐 주민 자생적으로 한옥마을이 형성된 것처럼 수원 역시 관광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이번 조례안과 관련해 시와 시의회의 조속한 재논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6일 수원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수원화성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한옥의 보전과 그외 지역에도 한옥촉진지구를 지정해 한옥마을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난 10월 말 폐회한 수원시의회 제300회 임시회에 ‘수원시 한옥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하 한옥조례안)을 제출했다.
시가 제출한 개정조례안에는 한옥촉진지역 지정과 해당 지역에 대해 한옥 건축·수선 비용의 지원을 확대, 기존 최대 8천만원의 지원금을 전체 공사비의 70% 범위 안에서 최대 2억원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시의회는 시가 제출한 개정조례안에 명시된 구체적 지원금액 등 자세한 내용과 관련해 시의회 의결 전부터 시가 한옥마을 조성을 마치 기정사실화한 것은 물론 지원금액을 둘러싼 이견 등의 이유로 부결했다.
특히 시의회가 지난 8월 임시회 당시 해당 조례안를 재심의 방침속에 이번 회기로 연기한데 이어 또 다시 부결하면서 수원화성과 한옥의 조화 등을 통한 수원의 세계적 관광도시 조성 등에 대한 기대가 사실상 무산된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일고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1970년대 현재 한옥마을이 들어선 지역을 한옥보존지역으로 지정한 뒤 1990년대부터 한옥을 지으려는 주민들에게 행·재정적 지원을 펼친 결과 지금의 한옥마을이 만들어졌다”며 “주민들과 시, 시의회가 전주를 관광도시로 만들려고 노력한 의지의 산물로 지금은 전주의 또다른 상징이 됐다”고 설명했다.
백정선 시의회 문화복지교육위원장은 “한옥마을 지정을 통해 수원을 관광도시로 발전시키는 것에 동의하지만 지원금액이 큰 폭으로 인상된데다 시가 사업추진을 급하게 서둘러 더 고민해보자는 차원에서 부결된 것”이라며 “다음에 다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과 어울리는 한옥이 화성주변에 들어설 경우 우리나라 대표 관광자원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시의회와 합리적 논의로 좋은 결과를 도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