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왜곡 논란에 휩싸이고 있는 ‘경기도 현대사’가 국정감사에 이어 경기도의회 도정질의에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도의회 김주삼(민·군포) 의원은 6일 열린 제283회 정례회 도정질의에서 ‘경기도 현대사’의 편향적인 역사관을 지적하며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설전을 벌였다.
김 의원은 “효순·미선양 사건과 관련해 교통사고로 기술한 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나”라고 물었고 김 지사는 “교통사고가 맞다. 현장에 가보면 알겠지만, 길이 좁아서 일어난 교통사고”라며 “이 사건은 민족주의 감정이 정치적으로 오용된 대표적 사례”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촛불 시위가 왜 일어났겠는가”라며 “사망사고를 낸 미군이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은 데 대한 국민적 분노와 그 배경을 기술하지 않고 단순하고 정치적으로 묘사한 것이 문제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정희는 개발 정책을 혁명의 연속 과정으로 간주하고 정당화했다’고 기술한 ‘박정희의 꿈과 혁명’이라는 부분에 대해서도 “성공한 반란은 정당성을 부여받을 수 있는 게 대한민국의 역사냐”고 따져 물었다.
김 지사는 “박 전 대통령의 업적이 산업혁명에 기여했다고 기술하고 있는 것”이라며 “박정희 전 대통령을 부정하고 이승만 정부를 부정하면 김 의원님은 대체 대한민국의 무엇을 인정하는 거냐”고 강하게 반박했다.
또 김 의원은 1948년 8월15일을 대한민국 건국일이 맞느냐고 김 지사에게 물었고 김 지사는 “헌법에 대한민국 정부수립일로 규정돼 있는데 그럼 김 의원은 대한민국 건국일을 언제로 보느냐”고 맞불을 놨다.
질의 과정에서 김 의원이 “식민지가 없었다면 오늘도 없었을 것”이라는 김 지사의 과거 발언을 비판하는 동영상 강의를 보여 비판의 수위를 높였고 이에 김 지사가 “이런 자가 가르치니 역사 교육이 제대로 안 되는 것이다. 강의했던 사람도 사과하고 인터넷에서 동영상을 내렸다”고 언성을 높이기도 했다.
김 의원은 “지나친 편향으로 학계와 시민단체 등의 우려를 넘어 공분을 사고 있는 경기도 현대사 교육을 중단해 달라”고 김 지사에 재차 촉구했다.